•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 -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계획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Transportation-Cultural Complex Facilities - Focused on the Jeonju Bus Terminal Pla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2
14P 미리보기
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 -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계획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1호 / 99 ~ 112페이지
    · 저자명 : 장혜민, 신은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거점문화시설을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교통문화복합시설의 계획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거점문화시설은 비수도권의 문화시설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국토연구원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관련 프로그램의 복합화, 관 내 시설의 네트워킹을 통해 수요의 규모를 키우고, 부족한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개념의 거점문화시설이 작동하기 위한 구체적인 건축적 접근은 없었다. 더불어, 언급한 기능을 정확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입지 조건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 압력이 낮은 비수도권 도시의 노후화된 교통터미널의 재개발 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개발 방향이면서도, 위의 문화거점시설을 건축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지로서 교통시설과 문화시설의 복합화 개념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는 지역 내 문화시설 활용 현황, 교통 조건, 그리고 교통시설의 노후화 등을 고려하여 전라북도 전주 시외버스터미널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례 분석을 통해 문화시설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공간적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최근 건축된 국내 교통시설과 문화시설 복합화 사례를 통해 복합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계획 요소, 특히 유동 인구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분석하였다. 선례를 통해 도출된 요소들을 설계 대상지인 전주 시외버스터미널에 적용하여 문화시설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통문화시설 복합화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교통 동선을 고려하여 터미널의 영역을 먼저 결정한 이후, 주변 접근 동선을 고려하여 유입 동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오픈플라자를 중심으로 문화 및 상업 시설을 배치하였다. 오픈플라자는 해외 선례에서 일반 방문객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이벤트 공간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복합화 사례에서는 상업 및 터미널의 유동 인구를 상층부로 올려보내는 아트리움 형식으로 나타났다. 사례에서 나타난 오픈플라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오픈플라자 주변으로 수직 동선 및 소규모 이벤트 공간이 결합된 산책로 공간과 목적성이 높은 전시 공간을 배치하였다. 또한 오픈플라자와 인접하여 다기능 공간을 두었는데, 이 다기능 공간은 기존 거점문화시설에서 제안한 복합화와 달리, 하나의 공간 안에 개방형, 참여형 프로그램과 전시 전문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이 결합된 공간으로 방문객이 전시공간으로 쉽게 유입할 수 있는 장치가 된다. (결론) 본 연구는 비수도권 도시에서 노후화된 교통시설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통문화시설 복합화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문화시설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시설과 교통시설의 복합화 과정에서 문화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공간, 동선 등의 건축적 전략을 제안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for the transportation-cultural complex which realize a cultural hub facilities. The concept of a cultural hub facility is proposed to revitalize cultural facilities by consolidating various programs and networking similar facilities within the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cultural activities and to utilize professional resources in non metropolitan areas. However, there has been no specific architectural approaches for this facility. Especially, the location condition is extremely important to realize the concept of the cultural hub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ncept of combining transportation and cultural facilities an efficient development direction suitable for urban redevelopment terminals as a location for implementing cultural hub facilities. (Method) The Jeonju Intercity Bus Terminal in Jeollabuk-do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considering the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utilization within the region, traffic condition, and the aging of the transportation facility. By analyzing the precedent cases for cultural facilities, the strategies for arranging program and spaces were derived. Also by analyzing the recent domestic cases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integrating the cultural programs, the design approache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how to combine two different facilities, especially strategies catering to mobile populations.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the designated site, the Jeonju Intercity Bus Terminal, to propose a design for a transportation-cultural facility. (Results) First, the terminal zone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raffic routes around the site, and then the open plaza, surrounded by cultural and commercial programs, was placed to maximize the inflow routes within the facility. Open plazas have been appeared as event spaces that can attract general visitors in overseas precedents, and in domestic complex cases, they have been shown in the form of an atrium that sends commercial and terminal floating population to the upper floors. Enhancing such functions of these spaces, the exhibition spaces and the promenades incorporated with the vertical movements and the small event spaces are arranged around the open plaza. Especially, multi function spaces were placed adjacent to the open plaza. Unlike the complex appeared in the report originally proposing the cultural hub facilities, the multi function spaces intend to be a space that combines specialized exhibition function and open, participatory programs within the boundary, which is expected to be a strategy to increase the numbers of visitors.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integration of transportation and cultural facilities as a method to utilize ol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non-metropolitan cities, and sought a direction for revitalizing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rchitectural strategies such as programs, spaces, and movement lines for revitalizing cultural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complexing cultural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