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안오구굿의 시설 연구 - 경북지역 오구굿을 중심으로 (Siseol study of Ogugut on the East Coast - Focused on Ogugut in Gyeongbuk a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08
34P 미리보기
동해안오구굿의 시설 연구 - 경북지역 오구굿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94호 / 129 ~ 162페이지
    · 저자명 : 마소연

    초록

    시설은 경상북도 오구굿에서 연행되는 절차로, 시설채 장단에 맞추어 망자가 쏟아내는 넋두리를 말한다. 경북오구굿에서 시설이 연행되는 제차는 골매기굿, 조상굿, 초망자굿, 발원굿, 놋동우굿, 넋일굼, 등노래이다. 망자가 주인공인 초망자굿을 제외한 다른 굿거리에서도 시설이 반복되는 것은 오구굿에서 시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영혼아’라는 호명에 이어 나타나는 시설은 대개 한이나 안타까움, 가족에 대한 고마움이 주를 이룬다. 시설은 망자의 넋두리이지만 시설이 연행되기 시작하면 그 넋두리는 망자와 가족의 대화를 촉발시키는 용매가 된다. 오구굿은 망자의 한을 풀고 극락으로 천도시키는 신앙이자 의례이다. ‘한’은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상호작용이 전제될 수밖에 없으므로 망자와 가족 모두 상호 간의 감정 표출이 동반되는 것이다.
    오구굿은 해원과 공동체 결속을 이루어내고자 하는데 그것은 시설을 통한 감정의 표출로 가능해진다. 감정을 바탕으로 ‘감정적 자아’인 망자를 인식하게 된 가족은 그때부터 망자의 변화 과정을 역시 감정의 변화를 바탕으로 확인한다. 그래서 망자의 천도 의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는 망자의 ‘부정적 감정의 표출 → 부정적 감정 약화 → 긍정적 감정 생성’이라는 기본 공식이 나타나는 것이다.
    무당이 특히 굿의 전반부에서 한과 슬픔 등 비애라는 감정에 집중하는 이유는 그 감정이 매우 장기간 대처해야 하는 경향이 있고 확산성 또한 강한 감정이므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시설을 반복하며 망자와 유가족은 신뢰라는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다. 신뢰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다른 감정들의 대상이 개별적인 타인들인데 반해 신뢰의 대상은 미래라는 것이다.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는 부정적 신뢰이든 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긍정적 신뢰이든 신뢰는 모두 미래의 세계에 대한 확신감을 주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무당은 오구굿이라는 제의를 통해, 특히 시설이라는 장치를 통해 망자와 유가족의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자 긍정적인 미래의 약속인 신뢰 관계를 서로 맺게 한다.
    오구굿은 집단적(사회적) 한을 풀기 위해 치러지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정신대해원상생대동굿’이다. 이를 연행한 무당은 시설을 통해 집단적 슬픔이나 한을 잠시나마 해소하고 우리가 동일한 고통 속에 놓인 공동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제주도의 ‘질치기’ 의례를 할 때 연행되는 시설과 유사한 영게울림에서 제주4.3 사건과 관련한 집단적 고통이나 슬픔을 읽을 수 있는 것처럼 영혼(망자)의 해원과 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굿들은 개인, 가족, 사회의 부정적 감정을 치유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들을 가진다. 동해안오구굿에서는 그 장치가 시설이 된다.

    영어초록

    Siseol is a procedure of being taken to Ogugut, Gyeongsangbuk-do, and refers to the whining of the deceased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of the Siseol bond. In Ogu-gut, Gyeongsangbuk-do, Siseol are performed by Golmaegi-gut, Ancestral-gut, Chomangja-gut, Balwon-gut, Notdong-woo-gut, Neoggil-gum, lantern song. The reason why Siseol is repeated in other gut streets except for Chomangjagut, where the deceased is the main character, is that Siseol account for an important proportion of Ogugut.
    Siseol that appear with the word “soul” are usually filled with resentment, sadness, and gratitude for their families. Siseol is the whining of the deceased, but when the facility begins to be taken away, the whining becomes a solvent that triggers a conversation between the deceased and the family. Ogugut is a faith and ritual that relieves the resentment of the dead and ascends to paradise. Since "Han" is formed based on relationships, interaction is bound to be premised, so both the deceased and the family are accompanied by mutual expression of emotions.
    Ogugut wants to achieve community solidarity with Haewon, which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Siseol. The family, who became aware of the ‘emotional ego’ based on emotions, checks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deceased based on emotions from then on. The basic formula of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 weakening of negative emotions → generating positive emotions’ appears in Siseol.
    The reason why shaman especially focuses on emotions such as sorrow and sadness in the first half of Gut is that the emotions tend to be dealt with for a very long time and the spread is also strong, so it has a large personal and social impact. However, repeating Siseol,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families have a friendly feeling of trus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rust is that the object of other emotions is individual others, while the object of trust is the future. Whether it is a negative trust that may cause harm or a positive trust that will bring blessings, trust is all a feeling that gives confidence in the future world. Through the proposal of Ogugut, shaman creates a trust relationship, a positive future promise, to resolve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family, especially through a device called Sise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