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중ㆍ후기 동해안권역의 인프라 구축과 巫圈域 형성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Formation of Shamanic Spheres in the East Coast Area from Middle to Late Goryeo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고려중ㆍ후기 동해안권역의 인프라 구축과 巫圈域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5호 / 197 ~ 224페이지
    · 저자명 : 정은정

    초록

    본 연구는 道域의 경계확정에 생활권도 배려되었음을 제안하고자 기획되었다. 특히 神靈의 공유에 따르는 巫圈域의 확산에 주시하였다. 巫俗의 神이 지역을 떠나 越境하려면 이를 가능케 하는 기층사회의 동선이 확보되어야 한다. 神靈의 공유, 인지적 결합을 동계남부의 영동ㆍ영서에서 찾고, 道域 分合과 巫圈域 범위가 부분적으로 일치함을 살폈다.
    동계남부의 영동ㆍ영서는 교주도 강릉도 2개의 道로 분리되면서도 道名이 연칭되었다. 道名의 연칭은 단일한 道制로 가는 일련의 과정으로, 우왕 14년 交州江陵道로 통합을 이루었다. 동해연안을 옆에 낀 방어체계에서 영서방면으로 서진하게 된 계기는 몽고의 5ㆍ6차 침입 때이다. 험지입보용 산성과 주생활공간 사이를 신속히 이동하려 샛길이 개척되었다. 종래 해안을 따라 병렬하던 官路의 흐름에서 빠져나온 샛길은 영동ㆍ영서간 통행을 수월케했다. 잘 짜여진 인프라는 교주도ㆍ강릉도 道域 통합의 전제조건이다. 영동과 영서는 용왕과 산신으로 신령의 보편이 이루어졌다. 좌정한 인물 神靈의 공유와 이로 인한 巫圈域의 확장은 통합 ‘交州江陵道’ 탄생의 인지적 요인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living zone affected confirming provincial boundaries by focusing expansion of each shamanic spheres(巫圈域), in which share the same deity worship. It is required to found out the transfer direction of common people to understand how shamanic deity worship could cross the boundary from its own area. Sharing the same shamanic deity and its cognitive combination could be found in Youngseo(嶺西) and Youngdong(嶺東) reg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ern frontier province(東界, Donggye). Also it is shown that range of reorganized provinces matched partly range of shamanic spheres.
    Although Youngseo and Youngdong regions in the southern part of Donggye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separate provinces as Gyoju province and Gangneung province, their name was interconnected and called together like a single name. This interconnected calling of province names was a step in the process of the united provincial system, therefore these provinces are actually consolidated into a single province as Gyoju-Gangneung province(交州江陵道) in the 14th year of King U of Goryeo(禑王). Because the conventional defense system along the east coast extended westward to Youngseo region during the 5th and 6th Mongolian invasion of Goryeo. In that time shortcuts were pioneered to move quickly between the main living zone and the mountain fortress for defense with steep terrain(險地入保用山城). The passage between Youngdong region and Youngseo region became easier by these shortcuts unlike old state-run roads(官路) paralleled along the coast. This well-constructed infrastructure was a prerequisite for the integration of Gyoju province and Gangneung province. At the same time, dragon king(龍王, Yongwang) and local mountain god(山神, Sanshin) were generally worshipped in Yongdong and Youngseo regions. And sharing faith of deified people and expansion of its shamanic sphere could be considered as a cognitive dimension to the creation of Gyoju-Gangneiung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