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목회상담의 한계와 지향점 (The Limitation and Aim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n Churc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3
28P 미리보기
한국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목회상담의 한계와 지향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3권 / 7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수

    초록

    본 논문은 목회상담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한다. 지금까지 목회상담은 전문적인 지식과 훈련을 받은 상담가들이 상담을 할 때 어떻게 그들의 상담을 목회상담이 되게 하느냐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 논문은 교회현장에서 목회상담이 어떠해야 되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며, 목회상담은 교회와 목회자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 글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목회상담에 대한 정의와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 학자들은 목회상담과 목회 돌봄을 구분한다. 목회상담을 전문적인 지식과 훈련을 받은 사람이 행하는 전문화된 목회 형태라고 보는 반면, 목회 돌봄은 목회자들이 일반적으로 교인들을 돌보는 형태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이 구분에 많은 의미를 두지 않으며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목회상담은 일반상담과 달라야 하며 그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목회상담학은 현장과 관련된 이론과 기술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 본 논문은 교회 안에서의 목회상담의 실효성을 볼 것이다. 현대 목회상담은 일반상담과 거의 비슷하다.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론과 기술이 없다. 목회상담은 종교적인 요소와 영적인 영역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이런 점에서 목회상담이 기독교 영성과 연결선상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언급할 것이다.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영성이 무엇이고 어떤 측면에서 목회상담과 연결되어 있는지 볼 것이다. 그리고 목회상담이 왜 영성지도와 비슷하지만 다를 수밖에 없는지도 다룰 것이다. 목회자가 하는 목회상담은 일반상담의 목적과 다른 영적인 측면을 회복시키는 것도 포함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영적지도여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현대 영성신학에서 말하는 영적지도와는 다르다. 오늘날 한국에 알려진 영적지도는 서구 수도원과 신비주의 전통에 근간을 두고 있는 것으로 한국 개신교 교회가 그대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목회상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회안의 종교적 자원에 대한 내용을 언급할 것이다. 목회상담은 성경, 기도, 교회공동체, 심방과 같은 종교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현장중심적인 관점에서 목회상담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목회상담의 발전가능성을 생각해 본다는데 의미를 둔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The main concern of pastoral counseling has been related with counselors who have psychological backgrounds and have trained as specialists although many of them are pastors. This study asks a question of how pastoral counseling goes along in church. It points out that pastoral counseling seriously has to concern church and pastors.
    This article divides into four sections. Firstly, it deals with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Scholars discern pastoral counseling from pastoral care. It is said that pastoral counseling is a more professional area while pastoral care is regarded as the ordinary caring of pastors.
    Whatever the classification is, pastoral counseling should differ from ordinary counseling and recover its identity. Furthermore, it argues that pastoral counseling should develop theories and skills for ordi- nary pastors.
    In the second section, it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ological ed- ucation and pastoral counseling in contemporary Korean church. Contemporary pastoral counseling and ordinary counseling are alike.
    The counseling of pastors in church has not develop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kills. Pastoral counseling includes religious ele- ments and spiritual areas.
    In the next part, it claims that pastoral counseling includes Christian spirituality. Pastoral counseling should include the recovery of spiritual aspect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the ordinary counseling. It also compares pastoral counseling with spiritual direction.
    In a sense, pastoral counseling must partly be the spiritual direction in that pastors should take care of the spiritual life of lay christians.
    Lastly, it will delineate the religious resources of church and the ne- cessity of manual, which can be used for pastoral counseling. Pastoral counseling can use religious resources such as the Bible, prayer, church community, pastoral visiting and so on. It argues that pastoral counseling needs to make manuals for pastors in church. This re- search contributes to showing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that can be used in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