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르셋을 입은 '집안의 천사':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과 여성담론 (The Corseted "Angel in the House": The "Corset Controversy" and Discourses on Women in the Victorian Er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8
39P 미리보기
코르셋을 입은 '집안의 천사':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과 여성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0권 / 359 ~ 397페이지
    · 저자명 : 배혜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을 통해 당대 여성(성)을 상징하는 ‘집안의 천사’와 코르셋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다. 이 논쟁은 건강과 미학, 도덕과 섹슈얼리티, 전통과 개혁 등 여러 상반된 주장들이 얽히고설켜, 19세기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복잡한 양상 및 지형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는 크게 볼 때 코르셋이 ‘여성 억압의 기제’라는 주장과 ‘해방의 의미’를 내포했다는 주장으로 대립되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양비론적 해석을 넘어 빅토리아 시기 주류의 여성 이데올로기 속에서 코르셋 논쟁을 재구성한다. 그 가운데 당대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구성에 기여한 코르셋의 상충적인 역할을 밝히는 동시에, 그것이 ‘집안의 천사’라는 여성(성) 신화로 수렴되는 지점을 밝힌다.
    수많은 공격에도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의 승자는 ‘코르셋’이었다. 코르셋의 승리는 한편으로는 미학적・도덕적・성적 측면에서 여성성과 여성 섹슈얼리티를 다채롭게 (재)구성하는 코르셋의 능력 때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코르셋 비판의 논리가 왜곡되거나 허약했던 탓도 있다. 특히 코르셋의 폐기가 곧 여성해방의 길이라고 보았던 페미니스트 의복개혁론을 제외한다면, 건강론이든 도덕론이든 ‘반 코르셋 논의’의 상당수는 지배적인 여성 이데올로기 편에 서서, 도리어 주류의 여성성을 강화하는 코르셋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측면이 적지 않았다. 이에 지배적인 여성 섹슈얼리티 담론을 거스르는 코르셋의 전복성도 크게 약화되거나 주류 담론에 포섭되는 것 역시 불가피했다. 이렇게 빅토리아기 코르셋은 ‘집안의 천사’를 미덕에서뿐 아니라 ‘미모’에서까지 완성하는 힘을 발휘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rrelation of corsetry and “the angel in the house” in the Victorian “corset controversy.” This controversy covered a number of conflicting arguments, showing the complexity of discourses on Victorian female body and sexuality. Previous researches were largely divided into claims that corsetry was the “instrument of oppression of women” and that it implied the sexual liberation. This paper revaluated the corset controversy, revealing the ambivalent role of corset in constructing Victorian femininity and female sexuality.
    Despite numerous attacks against corset made by doctors and feminists, the winner of the controversy was corsetry. On the one hand, the triumph of corsetry may have been due to its ability to reconstruct femininity and sexuality in aesthetic, moral and sexual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s of corset criticism were distorted or weak. In particular, excluding arguments of feminist dress reformers, many of the anti-corset arguments, whether health or moral, stood on the side of the dominant gender ideology, supporting the role of corset in strengthening an appropriate Victorian femininity. It was also inevitable that the subversive character of corsets against the dominant female sexuality discourse would be greatly weakened. In short, the Victorian corset displayed its ability to complete the beauty as well as the virtue of “the angel in the ho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