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공동관리안 반대운동(1942~1943) (The Opposition Movement abou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1942~1943))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공동관리안 반대운동(1942~194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8호 / 71 ~ 99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호

    초록

    1940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임시수도인 重慶에 정착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합국으로부터 승인을 받기 위한 외교활동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1942년부터 전후 한국에 대해 연합국이 공동으로 관리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임시정부를 긴장하게 만들었다. 미국이 주도한 이러한 구상을 당시 임시정부는 ‘國際共同管理’라고 불렀다. 임시정부는 ‘국제공동관리’가 일제 패망 후 한국의 즉시 독립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고 앞장서서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임시정부 외무부장 조소앙은 1943년 2월 1일자 『大公報』에 성명서를 발표하여 국제공동관리안을 반박하고, 한국은 즉시 독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1943년 3월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이든 외상이 만나 한국을 국제 신탁통치 아래 두기로 합의하였다는 내용을 확인한 임시정부는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섰다. 우선 국제공동관리안에 반대하는 선전활동을 강화하였다. 임시정부 선전부장 김규식이 성명을 발표하여 반대 의사를 재차 천명하였으며, 선전위원 엄항섭도 중국 신문에 장편의 글을 투고하여 반대 여론 확산에 주력하였다.
    임시정부는 국제공동관리안에 반대하는 한국인의 통일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1943년 5월 10일 ‘재중국자유한인대회’를 개최하였다. 당시 重慶에서 활동하고 있던 독립운동가들은 각자가 속한 정당과 단체에 따라 정치적 이념과 노선이 달랐지만, 자유한인대회에서는 이를 초월하여 한 목소리로 국제공동관리 문제에 반대의사를 나타냈다.
    임시정부의 국제공동관리안 반대운동 가운데 커다란 영향력이 있었던 것은 1943년 7월 26일 임시정부 요인들이 이 문제를 가지고 중국 최고지도자인 蔣介石과 면담한 것이었다. 이 면담에서 임시정부 요인들은 장개석으로부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 싸우겠다는 약속을 얻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이 카이로선언에서 독립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 것은 장개석이 임시정부 요인들과의 면담에서 한 약속을 지킨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1940,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ongqing(重慶) what the Capital of Kuomintang(國民黨) concentrated diplomatic activity for The Allies’s approval. Howeve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eard about reported that The Allies will be International Co-Management about postwar Korea from 1942. This Pla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named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by the executive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executive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new not means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is immediately independence. And They started The Opposition Movement abou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The head of foreign affair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ho So-Ang(趙素昻) refuted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and emphasized Korea’s immediately independence Through Dagongbao(大公報) released on February 1, 1943. In Roosevelt-Eden Meeting March 1943, The agreements what trusteeship about Korea draw a conclusion.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deployed propaganda activity agains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The head of propaganda activity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im Kyu-Sik(金奎植) issued statement that agains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The member of propaganda activity department, Um Hang-sup(嚴恒燮) submitted to Chinese newspaper for agains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opened The Freedom-Korean Convention in China for the Korean’s willing agains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in 10th May, 1943.
    The Korean Activists of independence in Chongqing exposed unified the opposite argument about The Freedom-Korean Convention in China.
    One of The Opposition Movement about International Co-Management Proposal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executive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et Chiang Kai-shek(蔣介石) as the Republic of China’s best leader. In this meeting, the executive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extracted promise out of Chiang Kai-shek what constant exertions for Korean independence. Because Chiang Kai-shek kept his appointment with the executive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orea was guaranteed independence in the Cairo Decla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