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중근(安重根)과 최재형(崔在亨) (An Jung-geun and Choe Jae-h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09.06
44P 미리보기
안중근(安重根)과 최재형(崔在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33호 / 71 ~ 114페이지
    · 저자명 : 반병률

    초록

    1908년 여름 함경도 두만강 국경지역의 일본군수비대를 공격했던 연해주의병운동의 중심조직은 동의회였다. 최재형은 동의회의 총장으로서, 안중근은 평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국내로 진공한 동의회 의병부대 조직에서 안중근은 우영장으로 활동했다. 하르빈 의거의 동지 우덕순 역시 동의회 회원이었다. 동의회의 중심세력은 안중근과 그의 의형제인 엄인섭, 김기룡을 중심으로 한 ‘87형제파’의 청년들이었다.
    최재형은 1893년이후 연추면의 도헌(都憲)으로서 1908년 당시 한인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한인사회의 지도자였다. 최재형이 동의회의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군대를 상대로 하는 청부업과 상업 활동을 통해 축적한 경제력과 러시아지방당국자들과 한인농민들 사이에서의 두터운 신망을 바탕으로 한 한인사회에서의 영향력이었다. 국내로부터 망명해오는 대부분의 애국지사들이 연추 마을과 노보키예프스키(1905년이후)에 위치했던 최재형의 집에서 식객으로 머물렀고 안중근도 예외가 아니었다.
    동의회가 최재형파와 이범윤파로 분열 대립되었을 때, 안중근은 최재형파에 속했다. 안중근은 이범윤측이 지목한 최재형파 핵심인물 9명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안중근은 이범윤의 권위주의적이며 봉건적인 태도를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후일 하르빈사건 심문과정에서도 “이범윤과는 의견이 맞지 않아 행동을 같이한 적이 없다”고 말했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유인석이 최재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평가한 바, 안중근은 최재형과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 즉, 유인석은 안중근이 “일찌기 도헌[都憲-최재형] 휘하의 병사가 되어 도헌의 집에 머물면서 늘 다시 거의(擧義)하여 원수를 갚고 나라를 되찾을 것을 의논하였”다고 했던 것이다. 1932년에 쓴 책에서 최호림이 동의회를 좌우 2파로 나누고, 안중근을 엄인섭, 장봉한, 최병준, 황병길과 함께 ‘동의회 좌파’인 최재형파 인물로 분류했던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1908년 국내진입 의병운동에서 패퇴한 후 안중근은 연해주와 흑룡주(아무르주)의 한인거주지들을 순방하였는데, 북으로는 멀리 아무르강가의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사만리(블라고슬로벤노예)마을에까지 찾아갔다. 수청지방에서는 일진회 회원들에게 잡혀 목숨을 잃어버릴뻔 했다. 1908년 이후 의병운동이 쇠퇴하게 된 데는 러시아당국의 의병활동 금지정책이 가장 큰 원인이었지만, 이에 못지 않게 한인사회의 의병활동에 대한 부정적 입장, 특히 의병운동의 최대후원자였던 최재형 자신이 의병운동과 거리를 두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재형은 1909년 봄 안중근 등 수청파가 중심이 된 한인일심회를 적극 협조하였다. 이후 하르빈의거에 이르기까지 안중근은 각지를 순방하며 교육에 힘쓰고 국민 단합을 고취하였는데, 노보키예프스키에서는 최재형의 집에 머물면서 도움을 받았다.
    1908년 여름의 국내진공작전이후 침체된 상황에서 안중근이 중심이 되어 연추에서 결성한 단지동맹, 동의단지회는 “일심단체(一心團體)로 나라를 위해 몸을 바쳐 기어이 목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안중근 등 12명이 결성한 동의단지회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으나 “최재형이라는 사람이 있어 우리 일을 만히 돌보아 주었”다는 우덕순의 회고를 보건대, 최재형이 안중근이 회장이었던 동의단지회 등의 활동을 여러 가지로 지원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로서 안중근이 하르빈으로 떠나가기 전에 최재형과 자신의 의중을 밝혔는지, 밝혔다면 어느 정도로 구체적으로 이토오 히로부미 처단계획을 협의했는가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안중근이 하르빈으로 떠나기 전까지 노보키예프스키의 최재형 집에 기식하면서 후원과 보호를 받고 있었던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하르빈 의거 직후 일본당국이 최재형을 하얼빈 의거의 연루혐의자로 지목한 37명 가운데 첫 번째 인물로 지목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안중근이 하르빈 의거 공판투쟁에서 방어하고 숨기고자 했던 여러 사실 가운데 최재형과의 관계가 그 하나였다. 안중근은 우덕순과의 공모사실이나 1908년 여름 동의회 의병의 국내진공 참여 사실, 그리고 단지동맹의 결성 사실 등은 일본당국자들의 집요한 추적에 밀려 방어하는데 실패했지만, 대동공보 관계자들의 관여사실(유진율, 이강의 자금, 총기 제공문제)이나 최재형과의 관계를 숨기는데 성공하였다.
    안중근이 1910년 2월 7일에 열린 제1회 공개 공판정에 ‘팔도(八道) 의병총독(總督)’으로서 김두성이란 인물을 내세운 것 역시 한편으로는 자신의 공판투쟁 전략에 따른 것이었다. 이와 아울러 이 전략은 최재형을 보호하고 그와 관련된 사실들을 숨기고자 했던 것이라 판단된다. 즉, 안중근은 ‘팔도의병총독 김두성’을 매개로 하여 자신을 의병세력의 전국적 조직에 연결시켜 참모중장으로서의 위상을 내세우려 했고 그 귀결로서 국제법에 의한 ‘전쟁포로’로서 대우해줄 것을 요구하고자 했던 것이다. 대표성이나 권위에 있어 연해주의 일개 의병조직에 불과했던 동의회 조직은 안중근의 공판투쟁 전략에 부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제3자가 볼 때에 동의회 총장이었던 최재형은 러시아국적을 가진 ‘외국인’으로서 전체 한국민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Dongeuihoe(同義會, Association of Comrades)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infiltration of the euibyeong(義兵, Righteous Army) into the border area of Korea in the summer of 1908. Choe Jae-hyeong and An Jung-geun were elected respectively as the president and council member of the Dongeuihoe. An Jung-geun led the right half of the euibyeong troops which attacked the northern border area across the Duman River. An's comrade, U Deok-sun was also a member of the the Dongeuihoe. The core force of the the Dongeuihoe was composed of young people of “the eighty seven group” whose key leaders were An Jung-geun, Eom In-seop and Gim Gi-ryong
    Choe Jae-hyeong had worked as the magistrate(doheyeon, 都憲) of the Ianchikhe(煙秋) prefectu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since 1893 and eventually became the most influential person among Koreans in Russia. It was his economic power and high reputation among local Russian authorities and Korean people which led to his presidency of the Dongeuihoe. Most of the political exiles who crossed the border to Russia sought asylum at Choe Jae-hyeong's residence in Ianchikhe village and Novokievskii(after 1905). An Jung-geun was among them.
    When the Dongeuihoe was divided between supporters of Choe Jae-hyeong and Yi Beom-yun, An Jung-geun sided with Choe and was one of nine key members of the Choe's group. An Jung-geun was unfavorable toward Yi Beom-yun's authoritative and feudalistic behavior. An Jung-geun once explained to a Japanese policeman that he disagreed with Yi Beom-yun and accordingly had never worked together with Yi.
    Yu In-seok had commented in his letter to Choe Jae-hyeong that An Jung-geun and Choe were close comrades. Yu wrote, “An Jung-geun served as a soldier to Doheon(Choe Jae-hyeong) and always discussed with Choe about ways to initiate a movement for revenge upon the enemies and restor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his book, Choe Ho-rim grouped the members of the Dongeuihoe into two factions, right wing and left wing, and classified An Jung-geun into Choe' Jae-hyeong's left wing along with Eom In-seop, Jang Bong-han, Choe Byeong-jun and Hwang Byeong-gil. After the failure of the euibyeong army's attack on the Japanese border guard in the summer 1908, An Jung-geun visited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Amur Province. An Jung-geun visited a Korean village called Blagoslovennoe(Samanni in Korean) which was located by the Amur River in the Amur Province. In Suchan, An Jung-geun was captured and almost killed by the members of the Ilchinhoe(Advancement Society). Together with the Russian policy of prohibiting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euibyeong army, unfavorable opinions toward the euibyeong army among Koreans and Choe Jae-yeong's efforts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euibyeong group wer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decline of the euibyeong activities since the Fall of 1908. Nevertheless, Choe Jae-hyeong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Ilsimhoe which An Jung-geun and his Sucha group organized in the early 1909. Since that time, An Jung-geun visited Korean village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he unity of Korean people. When An Jung-geun went to Novokievskii, he stayed at Choe Jae-heyong's residence.
    In spring of 1909, An Jung-geun cut off a ring finger together with eleven comrades organizing a secret society whose members were to “have one-mind and unity and devote themselves towards the independence of their nation.” U Deok-sun noted that Choe Jae-hyeong supported their activities in many ways and that Choe Jae-hyeong' must have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Danji Dongmaeng (Society of Cut Fingers).
    We do not know whether An Jung-geun revealed his plan to assassinate Ito Hirobumi to Choe Jae-hyeong and if so, the extent to which he discussed with Choe about his plan. However, we can say that An Jung-geun had received support and protection from Choe Jae-hyeong while staying at Choe's residence until he left for Harbin.
    It was not a coincidence that Japanese authorities spotted Choe Jae-hyeong as the first among thirty-seven potential accomplices shortly after the Harbin incident. He eventually failed to conceal U Deok-sun's involvement in the conspiracy, his participation in the euibyeong army's military infiltration into the border area of Korea, and organization of the Society of Cut Fingers. He did however succeeded in protecting key members of the Daedong Gongbo and his relations with Choe Jae-hyeong.
    During the first session in the public hearing on Februrary 7, 1909, An Jung-geun's created a ficticious figure named Gim Du-seong as the “Government-General of Eight Province Righteous Army(八道義兵總督, Paldo Euibyong Chongdok)” as part of his legal defense strategy. By positioning himself as being part of a nation-wide euibyeong army organization, he intended to classify his assassination of Ito Hirobumi as an act in an ongoing war against Japan. By doing this, An Jung-geun intended to reques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reat him as a war prisoner. An Jung-geun might have felt that the Dongeuihoe, a regional euibyeong organization, did not have the representation and authority required for his legal defense. The idea of Gim Du-seong was also a wise strategy to protect Choe Jae-h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