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함광 비평 연구 (A study of An, Ham-gwang’s literary critic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11
26P 미리보기
안함광 비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0호 / 281 ~ 306페이지
    · 저자명 : 이도연

    초록

    안함광은 카프문학 운동기에 있어 김기진, 임화, 김남천 등과 함께 왕성한 비평 활동을 통해 프로문학 이론의 수립과 심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비평가였다. 특히 식민지 조선의 경험적 구체성을 소중히 여겨 계급문학이론을 일관되게 견지하면서도 조선적 특수성이라는 명암(明暗)을 신중하게 고려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입장은 카프 해산기를 즈음해 제출되었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문제에 대하여 신중하고도 조심스러운 태도로 표명되었다. 그는 1930년대 대다수 인구를 차지하고 있었던 농민에 대해서 깊이 고민하면서 농민문학론을 선구적으로 제창하였다. 이는 경험적 현실의 구체성을 고려하려는 그의 지속적인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는 농민문학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프롤레타리아의 헤게모니를 강조함으로써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주었다. 그의 창작방법론에 대한 입장은 궁극적으로 유물변증법적 창작방법으로 귀결되었다. 예술의 특수성과 보편성, 프로작품의 예술적 형상화의 문제에 있어서도 그는 폭넓은 사유와 유연한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프로문학의 도식화, 공식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잊지 않았다. 그는 작가들에게 문예이론의 ‘혈율적 이해’를 주문하였는데, 이는 경험적 현실의 구체성을 소중히 여기는 그의 일관된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해방이후 그는 고향에 재북(在北)하면서, 1967년 주체사상에 반대하여 숙청되기까지 북한의 문예이론을 주도하였다. 특히 1956년 기술된 『조선문학사』는 북한에서 간행된 첫 번째 문학사로 기록되었다. 해방과 월북이후 그의 문학적 행정(行程)에 대해서는 다른 지면을 통해 논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Poor light in the KAPF unit and gimgijin literature, framed, along with Kim Namcheon vigorous critique of literary theory through the activities program for establishing and deepening a considerable contribution was a critic. Empir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cherished in a colonial literary theory consistently ranks terms of specificity, yet the contrast Joseon were carefully considered. Kaufman dismissed the same position his machine was made Alyston acceptance of socialist realism on the issue carefully and has expressed cautious attitude. He was in the 1930s accounted for the majority population, while farmers, farmers worried about the depth of the pioneering literature was proposed. Concreteness of the empirical reality to consider that his ongoing attitude had originated from.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rmers, while literature, the hegemony of the proletariat, by emphasizing the balanced perspective showed. Admission for his creative methodology remains that ultimately led to the dialectical method was creativ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art, artistic form of professional work, he’s a problem even in broad and flexible stance by reason of professional literature, diagram, to formalize a reflective examination did not forget. He with the authors of literary theories ‘hyeolyuljeok understanding’ was ordered, which honors the concreteness of the empirical reality that stems from his consistent attitude that can be evaluated. After the liberation in his homeland, jaebuk(在 北), while in 1967 before the purges against the Juche Idea of ​​North was led by literary theory. A. D. 1956 specifically stated 『Literary history of joseon』 North Korea published in the literature was written in the first. S greatest literary and after the liberation of his administration for a discussing with the other floor I hope I c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