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漢城府 四學 敎官의 성분 : “中學先生案”의 사례 분석 (Types of Instructors of Sahak(四學), Hanseongbu(漢城府)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 A Case Study on Junghakseonsaengan(“中學先生案”))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11
35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漢城府 四學 敎官의 성분 : “中學先生案”의 사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5호 / 319 ~ 353페이지
    · 저자명 : 임학성

    초록

    조선왕조는 세계사상 유래가 드물 정도로 강고한 儒敎국가체제를 운영・유지하려 하였다. 그리고 이의 실현・정착을 위해 전국적으로 교육(官學)기관을 확대하여 性理學 교육을 강화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교육기관으로중앙 漢城府에는 최고 과정에 해당하는 成均館과 중등 과정에 해당하는四學(中・東・西・南部의 4개 學堂)을 두었으며, 지방 郡縣에는 鄕校를 두어중앙의 四學과 마찬가지로 중등 과정의 교육을 담당케 하였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중국 宋나라 때의 제도를 모범으로 채택한 것이었으나, 특히 성균관의 부속 교육기관으로 四學을 설치한 것은 중국에서도 그 전례가 없는 매우 독창적인 제도였다. 이런 점에서 조선시대 四學의설치와 운영 등에 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의 거의가 제도사적인 측면에만 국한되어 그 구체적인 양상을 이해하는 데는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조선 후기(1654~1894)에 中學의 敎官으로 파견된 ‘兼敎授’들의 名簿(“先生案”)자료를 분석하여 그들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中學 교관에 다수 부임한 姓貫은 全州李씨와 安東金씨, 坡平尹씨, 韓山李씨, 南陽洪씨 등이었다. 이는 조선 후기 文科 급제자를 다수 배출한 성관 분포와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이런 경향 속에서도 19세기에 안동김씨(즉, ‘壯洞김씨’)가 교관으로 다수 부임하고 있는 현상은 주목되었다.
    둘째, 부임 당시의 중학 교관의 연령은 40대(39%)와 30대(37%)가 다수를 점하여 이 두 연령층을 합치면 전체 교관의 76%나 되었다. 그러나 시기가 내려올수록 40대 교관의 부임은 감소하고, 30대와 20대 교관의 부임이크게 증가함으로써 교관의 年少化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문과 급제 후 중학 교관으로 부임하기까지 경과한 시간은 최단 수개월부터 최장 32년까지 분포하였는데, 5년 이하가 44%, 6~10년 사이가38% 등을 보여 10년 이하가 82%를 점하고 있었다. 그런데 시기가 내려올수록 문과 급제 후 교관으로의 부임 기간이 짧아지고 있어, 19세기 후반에는 5년 이하가 무려 79%에 달하였다.
    넷째, 4학 교관은 다른 官衙에 소속된 관원을 파견하여 兼職하도록 하는것이 制度였다. 따라서 교관은 他관아에서의 本職을 갖고 있었고, 그런 까닭에 본직이 교체되면 교관직을 移任하고 있었다. 조선 후기 중학 교관이어떠한 본직을 지니고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더니, 禮曹 亞門인 弘文館의관원(應敎・副응교・校理・副교리・修撰・副수찬 등)이 46%, 兵曹 아문인 五衛의 관원(護軍・副호군・司果・副사과・司直・副사직・司正 등)이 26% 등으로다수를 점하였다. 그런데 시기가 내려올수록 홍문관 소속에서 오위 소속의 관원이 주로 중학 교관을 겸직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 tried to conduct and maintain an unprecedentedly solid Confucian national system and for this goal, established governmental schools in order to reinforce Confucian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the capital city or Hanseongbu(漢城府), the highest institution and four secondary schools were built; the former was called Seonggyungwan(成均館) and the latter Sahak(四學),which were built in the central,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districts in Seoul.
    This system imitated that of Song Dynasty was very creative in the establishment of Sahak as an attached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list of adjunct instructors or Seonsaengan(先生案), which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of those who were sent to Joonghak(中學), one of Sahak.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1654-1894.
    First of all, most of the instructors came from Jeonju Lee(全州李氏), Andong Kim(安東金氏), Papyeong Yoon(坡平尹氏), Hansan Lee(韓山李氏), and Namyang Hong(南陽洪氏) family etc.. This proportion is mostly similar to that of those who passed a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t is remarkable that men of Andong Kim family were often appointed as instructor.
    Secondly, most of them were 30s(37%) and 40s(39%), total 76% in early days.
    Later, instructors in their 40s decreased and those who in their 20s and 30s increas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them to go to their posts as instructor after they passed a civil service examination; it ranged from a few months to 32 years. Most of them(82%) waited for less than 10 years; 44% less than 5 years and 38% from 6 to 10 years. However, the waiting time became shorter. In the late 19th century,79% of the instructors were appointed in 5 years after they passed the examina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law, the instructors were supposed to hold two jobs;they belonged to not only Sahak but also other department. At first, 46% of them were officials, for example, Eunggyo(應敎), vice Euggyo(副凝膠), Gyori(校理), vice Gyori(副校理), Suchan(修撰), and vice Suchan(副修撰) etc. at Hongmungwan(弘文館), Yejo(禮曹), and 26% of them were Hogun(護軍), vice Hogun(副護軍), Sagwa(司果), vice Sagwa(副司果), Sajik(司直), vice Sajik(副司直), and Sajeong(司正) etc.
    at Owi(五衛), Byeongjo(兵曹). But, at later, the former decreased and the latter increased; the officials at Owi mostly served as instru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