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丑約條의 성격과 顯宗代 安秋元 사건 (The Peace Treaty of 1637 and the An Ch’uwon(安秋元) Case in 1666)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9
38P 미리보기
丁丑約條의 성격과 顯宗代 安秋元 사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8호 / 87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근하

    초록

    본 논문은 정축약조가 청의 입관 이후에도 유효한 효력을 갖고 反淸意識이 현실정치에 드러나지 못하게 제어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던 사실을 검토했다. 정축약조는 1637년에 청과 조선이 맺은 약조로서, 병자호란 항복조약의 성격을 지녔다. 지금까지는 정축약조를 청이 입관(1644) 이전에 조선을 압박한 수단으로 이해하며 그 강압적인 성격만 부각했다. 본고는 이런 시각을 뛰어넘어, 우선 정축약조의 유래와 특징을 검토한 뒤, 입관 이후 정축약조가 실제로 영향을 끼친 사례를 분석했다.
    정축약조는 총 8개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이 항목들을 청이 조선을 강압하기 위해 만든 항목들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사실 이 항목들은 멀게는 조선과 여진족이 관계를 맺은 시점부터, 가깝게는 정묘호란 당시부터 양국 간 문제되었던 사안들을 일방적으로 청에게 유리하게 조정한 것이다. 또한 각 항목은 이행의 만료일이나 이행 위반 시 처벌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었기에, 청에게 유리하게, 조선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했다.
    현종 대 안추원 사건은 정축약조가 조선의 반청의식이 현실정치에 반영되는 것을 제어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안추원은 병자호란 때 청에 붙잡힌 피로인이었는데, 1664년에 조선으로 탈출했다가 1666년에 다시 청으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청은 조선이 정축약조를 위반하고 피로인을 몰래 수용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조선이 안추원을 수용했던 이유는 당시 산림을 중심으로 유행하던 반청의식이 작용한 결과였다. 하지만 조선은 정축약조를 위반한 이유로 국왕과 대신이 청 칙사에게 조사를 받았고 청은 조선에 벌금을 부과했다. 이 사건을 통해 청이 정축약조 위반의 책임을 국왕에게 물었고, 그 결과 사대부는 반청의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를 현실정치에 반영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위험한 시도라는 것을 재확인했다. 나아가 조청관계가 점차 안정화되어가고 있었지만, 정축약조 등과 같은 민감한 외교사안이 수면 위로 드러날 경우 조선이 청에게 자발적으로 복종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eace Treaty of 1637 was concluded between the Qing and Chosŏn, following the Chosŏn capitulation to the Manchu Khan in the last phase of the Manchurian invasion of Chosŏn Korea, 1636~1637. Consisting of eight articles, the Peace Treaty of 1637 had significant effects on various aspects of the Qing-Chosŏn relations throughout the late 1600s and into the early 1700s. Indeed, the articles of the treaty functioned as an apparatus by which the Chosŏn government was strictly overseen and controlled by the Qing. With emphasis on the case of An Ch’uwon, a Korean captive to the Manchu, this study examines the essence of the Qing-Chosŏn relations after the Manchu conquest of China in the mid-1640s, during the reigns of King Hyŏnjong(r. 1659~1674).
    The eight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37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ssues that had remained unsolved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1500s when Nurhaci rose to power in western Manchuria and began to threat Chosŏn and the Ming. Very similar to the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27, concluded between the Later Jin(renamed Qing later) and Chosŏn, the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39 were stipulated in more details to the advantage of the Manchu.
    The An Ch’uwon(安秋元) case, which occurred in early 1666 shows that the Peace Treaty of 1637 prevented the anti-Manchu sentiment and proposals among the Korean ruling elites from being employed on the political stage in reality. In his early teens An was captured by a Manchu soldier during the Manchurian Invasion of Korea in 1636, but he successfully escaped from Beijing and returned to Chosŏn in 1664. Unsatisfied with his life in Chosŏn, he escaped back to Qing China in 1666 only to be arrested on the way. When an fled back Chosŏn, the central authority of Chosŏn did not repatriated him to Qing China. It did not even report it to Beijing, which obviously violated the Peace Treaty of 1637, with the result that the Chosŏn king and ministers were investigated by the special investigator whom the Manchu emperor dispatched to censure the Chosŏn authority. From this case, we can argue that the Peace Treaty of 1637 still operated after the Manchurian Invasion in 1636, and Chosŏn should obey the Qing`s order voluntar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