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레히트의 발레극 『소시민의 칠거지악』에서 금융종교를 위한 개인의 부정과 자기최적화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Die Verneinung des Individuums und dessen Selbstoptimierung aufgrund der Finanzreligion sowie die Intertextualtät in 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Bertolt Brech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2.02
26P 미리보기
브레히트의 발레극 『소시민의 칠거지악』에서 금융종교를 위한 개인의 부정과 자기최적화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46호 / 59 ~ 84페이지
    · 저자명 : 이은희

    초록

    본 논문에서는 브레히트 『소시민의 칠거지악』에서 자본주의 사회의 금융종교를 위한 개인의 부정과 변용 그리고 이를 극작법상으로 뒷받침하는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에서 중세 가톨릭 윤리신학의 칠거지악을 자본주의의 칠거지악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를 기반으로 주인공 안나의 두 분열체 안나 1과 안나 2가 7개의 도시를 거치면서 칠거지악을 극복하고 경제적 성공을 얻기 위해 자신을 부정하고 변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브레히트는 가치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기존의 기독교적 악덕이 자본주의의 악덕으로 재해석되고 이것을 피하면서 다시 악덕을 저지르게 되는 변증법적 과정을 드러내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설정하는데 상호텍스트성은 이러한 장치의 하나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천의 선인』, 『주인 푼틸라와 하인 마티』를 선취하는 『소시민의 칠거지악』의 주인공 안나의 ‘분열 모티브’와 『남자는 남자다』의 갈리 가이의 변신에서와 같이, 안나라는 인물이 보여주는 ‘변용 모티브’ 분석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 정체성의 부정과 해체, 변용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 작품에 영향을 준 버나드 맨더빌의 『꿀벌의 우화 또는 사적인 악행, 공적인 이익』, 『성경』, 루소의 『사회계약설』과의 상호텍스트성을 관찰함으로써 자본주의 대도시에서 분열과 학습, 동의의 과정을 통해 개성과 욕구를 말소하고 마침내 성공하는 개인의 여정에서 인간적 도덕률을 해체하고 전복시키는 자본의 힘과 자본시장에서 인간의 상품화를 비판적으로 노정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angesichts der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die gespaltene Persönlichkeit, deren Transformation und die Intertextualität in 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Bertolt Brechts zu erörtern. Brecht deutet hierbei erneut die sieben Todsünden der mittelalterlichen katholischen Kirche in die des Kapitalismus um, indem die Doppelfiguren Anna I und II sieben Großstädte in Amerika bereisen, wobei sie versuchen, die sieben Todsünden zu vermeiden und dabei ihre eigene Identität verleugnen und transformieren, um wirtschaftlichen Erfolg zu erlangen. Dabei experimentiert Brecht mit dramaturgischen Mitteln, zu denen die Intertextualität gehört, um hervorragend Umwertungen aller Werte darzustellen und die Dialektik zwischen Todsünden und Tugenden herauszustellen. Diese Arbeit untersucht zuerst anhand der Figur der Anna in 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die Auflösung des Individuums und dessen Transformation in der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wobei der Schwerpunkt auf die Persönlichkeitsspaltung und den Transformationsprozess des Individuums gelegt wird.
    Im nächsten Schritt wird die Intertextualität in Die sieben Todsünden, die in Bezug auf The Fable of the Bees von Bernard Mandeville, Die Bibel und Gesellschaftsvertrag von Jean-Jacques Rousseau erscheint, ermittelt. Dadurch möchte diese Arbeit die Vermarktung der Menschen und die Macht des Geldes kritisch hinterfragen, und beleuchtet das Problem, bei dem Menschen, um finanziellen Erfolg haben zu können, ihre eigene Persönlichkeit verleugnen und sich selbst im kapatalistischen System optimieren müssen, was tendenziell nicht nur zur Ausbeutung der anderen, sondern auch zur Selbstausbeutung führen kann. Dabei wird auch die menschliche Ethik und Moral aufgelöst oder im Extremfall auch ins Gegenteil umgekeh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