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빈곤의 부조리-빈민의 고통-초월적 신 존재 사이의 딜레마 - 혼 소브리노의 악고론을 중심으로 (The Dilemma among Irrationality of Poverty-Suffering of the Poor-Existence of Transcendent God: On the Focus of Jon Sobrino’s Theodic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4
42P 미리보기
빈곤의 부조리-빈민의 고통-초월적 신 존재 사이의 딜레마 - 혼 소브리노의 악고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사회윤리 / 49호 / 431 ~ 472페이지
    · 저자명 : 홍성우, 탁장한

    초록

    빈민이 밀집된 쪽방촌, 역전, 고시촌과 같은 공간에는, 사회에서는 주목받지못하나 일반주거지역보다 더 가시화된 고통 및 수명을 채우지 못한 빈번한 죽음이존재한다. 초월적이고 전능한 신이 인간을 사랑한다면, 이들 홈리스(homeless)의부조리한 현실은 매우 곤란한 현상이다. 사랑은 평화와 생명력을 낳는데, 빈곤의밑바닥에 놓인 사람들의 인생이 신의 사랑의 결과라면 이는 참담할 수밖에 없기때문이다. 물론 술로 하루를 지새우고 생사의 경계를 늘 직면하더라도 그 삶이무조건 부정적이거나 단지 고통으로 수렴되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전환은 빈민들의 인생이 색다르게 해석될 여지를 추구함에도, 그 이면으로는빈곤을 탓하지 않고 실존하는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면서 빈곤한 상황도 신의 사랑이라는 명제를 만든다. 이는 구조적 빈곤의 문제를 간과하고 신의 사랑으로은폐한다는 점에서 비윤리적이다. 빈곤의 상태에 책무성을 지니고 적절하게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신 존재가 공존할 수 있는 해석은 없는가. 본고는 빈민들이인간성까지도 파괴하는 생활고를 겪고 억울하게 죽어가는 악의 실재 속에서 초월적 신의 선한 사랑은 어디에 있는지를 묻는 당사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응답을, 최근의 주요 악고론과 특히 혼 소브리노의 악고론을 통해 귀납적으로 탐사한다.

    영어초록

    Crowded spaces including Jjokbangchon, subway stations, and Goshichon often suffer more visible pain than seen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and experience untimely deaths, despite not being noticed. If the transcendental and all-powerful God truly loved humans, this phenomenon would be considered absurd. God’s love gives birth to peace and vitality; but how should we explain the lives of those in poverty in God’s perspective? It would be tragic if the lives of those in poverty is a result of God’s love. Indeed, a person’s life cannot be defined as sim- ply negative/hopeless or painful just because he/she spends the whole day drinking or faces life or death situations everyday. This perspective interprets the lives of the poor in a different manner; yet it creates the assumption that God is love while failing to address the core issue of poverty and the suffering of the poor. It is also unethical as it overlooks the problem of structural poverty while wrapping it as the love of God. Is there any interpretation that can coexist with God’s existence whilst taking account of the state of poverty as well as providing an awareness of the issue?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le answers to those that seek transcendental God’s great love amid harsh reality where the poor’s humanity is destroyed and face death unfairly. This paper will explore using the recent theodicy, in specific to Jon Sobrino’s theod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사회윤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