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수아 라블레 소설에서 보이는 ‘악취미(bad taste)’와 ‘웃음’의 이미지 – 놀이와 축제 이론을 중심으로 - (The Image of ‘Bad Taste’ and ‘Laughter’ Shown in the Novel of François Rabelais -Focused on the Theory of Play and Carniva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8.11
26P 미리보기
프랑수아 라블레 소설에서 보이는 ‘악취미(bad taste)’와 ‘웃음’의 이미지 – 놀이와 축제 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7권 / 2호 / 11 ~ 36페이지
    · 저자명 : 이재걸

    초록

    인본주의적 창의성과 그로테스크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프랑수아 라블레((François Rabelais)의 소설은 패러디와 악취미가 가득한 난잡한 세계이다. 라블레는 이 난잡함에서 르네상스적 관용과 해방 정신을 흥미롭게 구성한다. 광장의 욕설이 민중의 자유를 표방하고, 민중의 웃음을 ‘좋은 것’으로 여기는 라블레 소설은 놀이와 카니발의 무한한 잠재성으로 미학화된다. 금기에 대한 도전과 질서에 대한 고의적 위반을 일삼는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그로테스크한 말과 행위를 통해 사건을 유쾌하게 풀어낸다. 르네상스라는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유연한 인간성을 지향했던 라블레는 ‘미와 추’ 그리고 ‘선과 악’의 새로운 버전을 제시하면서민중적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그는 일상을 놀이로써 끝없이 재생하여 삶의 고단함과 허무를 극복하려 했고, 사회와 권력에 대해 통렬한 풍자와 비판을 쏟아내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민중의 삶에 주체성과 권위를 부여하려 했다. 그래서 소설에 등장하는 ‘반(反) 영웅적 영웅들’이 보여주는 삶의 방식은 현실의 탐욕에 몰두하는 인간들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이들은 무절제하게 먹고 마시고 취하며, 동기조차도 불분명한 방종을 일삼는다. 온갖 악취미가 웃음과 결합하고, 혐오가 경탄과 뒤섞이며, 축제의 환호성이 민중의 승리로 전환되는 라블레의 독특한 유토피아는 양가적이다. 소설이지만 이미지로 쉽게 상상하게 되는 이곳은 유쾌하고 자비로운 공간이고, 축제의 흥분에서 인간성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끌어낼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라블레의 세계에서 추의 개념은 탄력적이고 생산적인 이념들과 연결되어 민중의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종류의 엄숙한 의무에 대응하는 강력한 ‘논리’가 된다.

    영어초록

    A novel by François Rabelais that shows the essence of humanistic creativity and grotesque literature is a disorderly world filled with parodies and bad taste. Rabelais interestingly reveals Renaissance’s tolerance and the spirit of liberation from this disorderliness. The novel of Rabelais where the public square’s profanity expresses the freedom of people and regards the public’s laughter as a “good thing” is aestheticize with limitless potential of plays and carnivals. Characters in the novel that deliberately violate against the challenges of taboo and order cheerfully unravel the story through grotesque words and actions. Rabelais who aimed for flexible human nature that corresponds with a new era called Renaissance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s utopia by proposing new versions of “beauty and ugliness” and “good and evil.” He tried to overcome tiredness and emptiness of life by endlessly replaying daily life as play and attempted to give identity and authority to the life of people through characters who use sharp satire and throw criticism to societies and power. So the ways of life revealed by “antiheroic heroes” that are introduced in the novel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human beings who focus on avarice of reality. They eat, drink and get drunk immoderately, and their uncertain self-indulgence without motives becomes common. Rabelais’ unique utopia where various bad taste is combined with laughter, hatred and admiration are mixed, and cheers of festivals are changed into the people’s victory are ambivalent. Even though it is a novel, the place where people can easily imagine with images is cheerful and merciful. Also, it is a place where people can study new things about human nature with the excitement of festivals. Above all, the concept of ugliness in the world of Rabelais is connected with flexible and productive ideologies and becomes a strong “theory” that responses to all kinds of solemn obligations that oppress the freedom of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