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惡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 - 순자와 한나 아렌트의 사유를 중심으로 -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Evil: with thought of Sunja and Hannah Arendt as the central figur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2.09
35P 미리보기
惡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 - 순자와 한나 아렌트의 사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48호 / 253 ~ 287페이지
    · 저자명 : 전선숙, 김영훈, 신창호

    초록

    본고는 악(惡)과 교육의 필요성을 순자와 한나 아렌트의 시각을 통해 논의한 것이다. 순자의 경우, 『순자』를 중심으로 ‘악’에 대한 주장을 검토하였고, 아렌트의 경우, 나치 전범인 아이히만의 재판 과정에 참여하면서 저술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순자는 ‘악’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는데, 모든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질투하며 욕망을 추구한다고 이해했다. 이에 순자는 욕망을 적절히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본성을 악에서 선으로 변화시키는 ‘화성기위(化性起僞)’를 주장하였다. 이 ‘화성기위’의 과정에서 선으로 인도하는 스승이 절대적으로 요청됨과 동시에 교육내용의 차원에서는 인간의 욕망을 적절히 추구할 수 있도록 분별을 알려주는 ‘예(禮)’와 인간의 감정을 조화롭게 다스리는 ‘악(樂)’의 역할을 중시하고 예악교육을 핵심에 두었다. 아렌트의 경우, ‘악’을 평범하게 인식했다. 아이히만은 아무 생각 없이 상부의 명령에 복종하는 것을 최고의 미덕으로 여겨 수많은 유태인들을 죽이는 악을 자행하지만, 그것은 악을 행한 것이 아니라 오직 명령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전체주의 체제에서 인간은 아무 생각 없이 악을 행할 수 있고, 선을 행할 수 없는 조건을 만듦으로써 자신도 모르는 상태에서 악을 행하는, ‘근본악’과 악의 ‘평범성’을 경험한다. 이에 ‘말’과 ‘행위’라는 인간의 다원성을 보장하는 정치적 행동이 필요하다. 이때 말과 행위의 전제 조건은 탄생성(natality)이며 교육의 본질을 구성한다. 순자와 아렌트는 인간의 악을 극복하려는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는 점에서 동질성과 이질성을 보인다. 선은 사회화 또는 공동체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있다고 보고, 교육의 실천과 행위를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의 목적이나 지향성 차원에서는 동질적이다. 하지만 순자가 덕을 쌓아 선을 이루는 지속적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아렌트는 전체주의 사회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행위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는 교육의 방법적 특성상 이질적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evil through perspective of Sunja and Hannah Arendt. In case of Sunja, it was reviewed by his opinion about Sunja as the central figure. As for Arendt, it was researched with "Eichmann in Jerusalem" as the central figure which she wrote participating in the trial process of Eichmann who was a war criminal of Nazi. Sunja thought evil as the nature of people and understood that they all are originally selfish, envious, and seeking desire. Therefore, Sunja thought it is important to properly seek human desire. He claimed Haw Seong Gi Wi(化性起僞, changing evil human nature into goodness through manner) which changes human nature from evil to goodness. A teacher who leads evil into goodness is surely needed in the process of Haw Seong Gi Wi. At the same time,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content it put stress on the role of Ye(禮, manner) which lets them realize discernment so that they properly seek human desire and Ak(樂, harmony) which harmoniously controls human emotion, and key point on education regarding Ye and Ak. As for Arendt, however, she recognized evil as normal one. Even though he thought that conforming the order of superior authority was the best value and then took evil of killing many Jews in thoughtlessness, Eichmann maintained that he did not take evil but only conformed the order. This way, people could take evil in thoughtlessness in totalitarianism, and it makes circumstance that they could not take goodness. Therefore they could take evil in thoughtlessness and experience the radical evil and the banality of evil. Accordingly, political praxis which guarantees people's plurality as the words and praxis is needed. It is named natality because the truth that they are born in this world is a starting point, and makes the essence of education. In this process, teachers have to be a representative of this generation for children as new social members, and be able to keep children's newness. Sunja and Arendt have the same equality and difference in that they referred to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overcome human evil. It is the same quality that goodness could recover the function of community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dimension of directivity. It is different in methodical characteristic of education that Arendt, however, suggests praxis as the way that they express themselves in totalitarianism while Sunja thought that continuous practice piling up virtue for goodness is impor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