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로티노스 미학을 통한 『악의 꽃』 미시독서(7): ‘죽음’의 메타 시학 (Microlecture des Fleurs du Mal à travers l’Esthétique Plotinienne(7): une métapoétique de la mor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2.09
33P 미리보기
플로티노스 미학을 통한 『악의 꽃』 미시독서(7): ‘죽음’의 메타 시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 문화 연구 / 54권 / 1호 / 215 ~ 247페이지
    · 저자명 : 김종기

    초록

    보들레르의 『악의 꽃』에는 괴기스런 어휘와 표현이 많다. 대표적인 제재 중의 하나가 ‘구더기’ver인데, 이는 ‘시’ 혹은 ‘예술’을 상징할 수 있는 ‘시 구절’vers과 동음이의어homonymie이다. 이를 모티프로 ‘구더기’가 ‘시 구절’의 상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악의 꽃』에 나타난 죽음을 제대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악의 꽃』이 담고 있는 죽음 관련 괴기와 공포는 단순히 ‘낭만주의 괴기 취미’에서 비롯된 것만이 아님을 확인하고, 나아가 죽음이라는 주제는 시집 전체의 서사축이며, 또한 예술 혹은 아름다움을 탐구하는 보들레르 시학의 한 과정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Dans les Fleurs du Mal se trouvent beaucoup de vocabulaires, de descriptions et d’expressions qui disent ‘Romantic Grothesque’, lié à la peur et à la bizarrerie. On peut se demander comment ces choses-là comme charogne, vampire, squelette, caveau, cadavre, carcasse, cercueil, crâne, ver… peuvent devenir de la poésie. Des poèmes de ce genre ont déjà été fort critiqués pour avoir ‘pétrarquisé sur l’horrible’ lors de la publication des Fleurs du Mal.
    Compte tenu de la similitude entre l’esthétique plotinienne et la poétique de Baudelaire évoquée dans mes études précédentes, si on peut lire ‘une terre grasse pleine’ de choses grotesques et terribles comme ‘la boue’ d’Ici-bas selon la métaphore plotinienne construite dans Ennéades, cela me permet de supposer une proposition : étant donné qu’Ici-bas doit toujours rester une certaine trace de la beauté de Là-bas, monde de l’Un, To Hen en grec, qu’est-ce qui peut ê̂tre cette trace dans le poème de Baudelaire? Si l’on prend note du fait que la relation homonymique entre ‘le ver’ et ‘le vers’, ‘le ver’ peut être une métaphore de la poésie ou de l’art, acte d’exploration de la beauté céleste. Car l’art est la recherche de la beauté de Là-bas, étant mélangée dans la boue d’Ici-bas selon la théorie esthétique plotinienne. C’est vrai que des vocabulaires terrifiants comme ver, charogne, squelette, etc et des descriptions et expressions dégoûtantes qui apparaissent dans les Fleurs du Mal s’identifient presque sans exception à la mort.
    À cet égard, pour comprendre la relation métaphorique entre le ver et le vers, donc la beauté ou de l’art, il faut d’abord bien comprendre la conception de la mort construite dans les Fleurs du Mal. On a constaté que la mort constitue un axe de narrations principales du recueil tout entier, tout au long duquel se manifestent d’une manière concomitante des caractéristiques multiples et des ambivalences sémantiques de la mort. On peut comprendre que l’ambivalence et les caractéristiques de la mort appartiennent à la beauté, recherchée par le ‘Je-poète’.
    La conception de la mort, de l’art et de la beauté chez Baudelaire est finalement en accord avec celle du platonisme en général et avec celle de Plotin en particulier. De ce point de vue se surgit une question : comment ‘le ver’ du ‘corps décomposé’ peut-il être interprété d’une manière symbolique comme Art et/ou Beauté de l’âme immortelle? C’est le prochain projet pour une microlecture des Fleurs du Mal à travers l’esthétique plotinien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