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로베르토 쥬코>와 악의 윤리학 (Bernard-Marie Koltès’ Roberto Zucco and The Ethics of Evi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7.02
33P 미리보기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lt;로베르토 쥬코&gt;와 악의 윤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61호 / 153 ~ 185페이지
    · 저자명 : 고해종

    초록

    본고는 ‘악’의 개념을 중심으로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로베르토 쥬코(Roberto Zucco)>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이 ‘주권성’이라는, 악을 통해 개시되는 새로운 윤리학적 사유를 표명하는 총체적인 하나의 ‘이야기’로 성립함을 논구한다. 이 텍스트는 종속된 존재들에 대하여 경계의 위반을 행하는 주체로서 로베르토 쥬코의 여정을 추적하며, 그 주체의 자유의 불가능성과 존재론적 부조리를 드러낸다. 여기서 극 전체를 추동하는 ‘악’이라는 개념이 문제의 중핵을 이룬다.
    이 텍스트가 문제적인 것은 공연 예술 창작에 있어서 철학적 주제를 근본적으로 제시하는 까닭이다. 지금까지의 해석 경향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우선 로베르토 쥬코를 상식적인 악의 위치에 놓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견해에 따르면 이 텍스트는 도발적이고 비도덕적인 외설이거나 한 불쌍한 정신병자의 난삽한 이야기일 뿐이다. 반대로 로베르토 쥬코를 선의 위치에 놓는 경향이 있다. 이런 입장에 따르면 그는 영웅으로서 예술적 자유를 옹호하는 신화적 존재로 숭앙되고 그 행위의 역설은 파편적인 이해불가능성에 방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견해들은 모두 악이라는 주제가 환기하는 사유의 전통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석상 오류를 범한다.
    따라서 본고는 철학적 사유의 영역을 다룸으로써 <로베르토 쥬코>라는 텍스트가 내적 필연성을 가진 ‘이야기’임을 밝히고, 그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철학적 대상 영역은 선과 악에 대한 사유영역으로서 윤리학을 상정하며, 의무의 윤리학과 덕의 윤리학이라는 구도 아래 칸트와 니체의 사유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 도덕적 권력의 내면화 과정을 규명할 것이다. 이렇게 선악의 계보를 재구성하고 의심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유하여 <로베르토 쥬코>를 분석함으로써, 주권적 인간의 전기-쓰기라는 하나의 존재론적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작업이 도덕주의적 시선과 병인론적 시선의 고전적 지도주의에 맞서 예술적 낭만성을 옹호하고, 또한 동시에 예술의 낭만주의적 신화화에 맞서 미학적 존재론의 준거점을 마련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on theoretical analysis of Bernard-Marie Koltès’ Roberto Zucco will discuss that it is a dramatic story with totality indicating ‘Sovereignty’, a new ethics which is commenced by the concept of ‘Evil’. Following the journey of Roberto Zucco, subject of transgression against subordination, this text reveals the impossibility of freedom and ontological absurdity.
    This text has been read in two point of views so far. First, Roberto Zucco as a common evil. According to this opinion, it is only a provocating immoral play or a poor psychopath’s obscene story. Second, Roberto Zucco as a good hero. With this point of view, he becomes an idol, a mythical character who supports artistic freedom, and the paradox of himself is neglected at the fragmented uncomprehendedness. However, without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theme, which the ‘Evil’ propounds to performing art creation, both fail to read the text. That is why it is problematic.
    Defining Roberto Zucco as a ‘Story’ with totality and immanent inevitability, I will try philosophical close reading of it. Passing through the geaneology of ‘Good’ and ‘Evil’, a single ontological story, an écriture of one sovereign human’s biography, can be found. In this thesis, I hope to defend the artistic romanticism against didacticism of moralists and etiologists, and also insist aesthetic ontology against the blinded artistic mythic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