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서울지역 거상악의 음악적 특성 및 전승 연구 (T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of feast music, Geosangak in Seoul in the 20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8
32P 미리보기
20세기 서울지역 거상악의 음악적 특성 및 전승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1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진윤경

    초록

    본고는 1906년 서울 지역의 삼현육각 연주자에 의해 녹음된 거상악 관련 유성기 음반을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그 전승 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 거상악과 관련된 최초 자료는 1906년 대한제국의 세악수에 의해 녹음된 VICTOR 13545(A)<륙각거상>(1906)이다. 이는 남창가곡 <계면두거> 두 장단의 선율을 삼현육각 편성으로 바꾼 후 변주하여 거상악으로 사용한 대표 악곡이라 볼 수 있다. 이 음반에는 총 6장단의 선율이 녹음되어 있는데 첫 번째 장단의 선율은 세 번째, 여섯 번째 장단의 선율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이며, 두 번째 장단의 선율은 네 번째, 다섯 번째 선율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 그 구조는 a ,b, a' ,b', b'',a''로 정리될 수 있다. 이 악곡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되는 현행 <염양춘>과 비교하여 볼 때 장고의 연주가 자유롭고, 시김새가 현행의 것보다 담백하게 표혀된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일제강점기 거상악으로서 녹음된 사례에는 Colombia40642A 雅樂 '宴樂曲(上) (1935) 이 있다. 이 곡은 <륙각거상>과 12가사 중 <권주가>가 함께 연행되어 있는데, 일제강점기 당시 회갑연과 같은 잔치에서 연주된 거상악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주형태는 현재는 단절된 상태이기 때문에 음악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宴樂曲>의 노래는 현행 가사 <권주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전반적인 선율선은 비슷하나 음정이 불안정하게 들린다. 그것은 <권주가>와 선율적 관련성이 없지만 음량이 큰 <륙각거상>과 동시에 연행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 같다. 노래의 선율보다는 ‘불로초로 주를 빚어 만년배에 가득부어 비나이다 남산수를’ 가사를 구호처럼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주로 큰 잔치에서 불리는 형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까지는 회갑연과 같은 전통식 잔치가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거상악의 수요가 있었고, 이왕직아악부 연주자 뿐 아니라 한성준이 이끄는 콜롬비아 고악단과 같은 민간 삼현육각 연주자들도 <륙각거상>의 연주를 지속했던 점이 다른 음반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한편 <륙각거상>은 세악수 및 세악수의 연주악곡을 흡수한 이왕직아악부를 통해서 전승되는 과정에서 기능음악이 아닌 감상용 관악합주곡으로 재맥락화 되었다. 보존용 무대음악으로서 20세기 후반 국립국악원 정악단에 의해 이어진 <륙각거상>은 <염양춘>이라는 아명으로 통용되었다. 20세기 후반 전통식 잔치가 사라지면서 <륙각거상>은 오직 서울굿에 차용된 무속 거상악으로서만 그 흔적이 확인된다. 1906년에 녹음된 <륙각거상>과 20세기 후반 연주된 <염양춘>과 <자진나이>를 비교해서 들어보면 <륙각거상>이 후자에 비해 다소 담백하게 들리는 경향이 있다. 후대의 것일수록 많은 꾸밈음을 삽입하여 연주하였으며, 굵은 요성, 퇴성 등 다양한 연주법이 첨가되어 있다. 음악적 표현이 화려해졌을 뿐 아니라, <염양춘>은 정악, <자진나이>는 무속음악으로 구분되어 인식되는 변화도 일어났다.
    이처럼 20세기의 급격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단절된 거상악과 관련하여 대한제국기에 녹음된 VICTOR 13545 <륙각거상> 음반의 발견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우리 민족의 다양한 잔치에서 연주되었을 거상악은 그 사회적 역할을 뒤로하고 사라졌고 20세기 후반에는 그 음악만이 남아 정악으로 재편되었으나, 삼현육각 음악이 전승집단에 의해 분리 전승되기 이전 존재하고 있었던 본질적 모습에 관해 알려준다는 점에서 향후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usically analyze the recordings related to the feast music recorded by the Samhyeon- Ukgak performers in the Seoul area and to examine its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VICTOR 13545 <Yukgak-geosang>(1906), in the feast of the late Joseon dynasty, <Yukgak-geosang>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drinking music. Originally <Yukgak-geosang> was traditional chamber vocal music called <Gyoemyoen Dugoe>. Musical roles of <Gyoemyoen Dugoe> changed and melody changed. <Yukgak-geosang>. This music was played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because people maintained a traditional feast. on the other hand, court music group called ‘Aakbu’ played <Yukgak-geosang> as wind orchestra music. it was changed preserved music from Functional music. Both of two paths were passed on to later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