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본악과 희망의 문제- 칸트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the radical Evil and Hope in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02
29P 미리보기
근본악과 희망의 문제- 칸트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49권 / 381 ~ 409페이지
    · 저자명 : 최소인, 정제기

    초록

    본 논문은 칸트의 종교철학 저작인 『종교론』의 주요논제들 중 하나인 근본악의 문제를 『실천이성비판』에서 개진된 도덕철학 체계와 연관하여 탐구하면서, 특히 근본악의 극복가능성이 궁극적으로는 도덕적 주체의 종교적 희망에 의존하고 있음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칸트에 따르면, 도덕법칙과 자기 사랑의 원리가 충돌할 때, 자기 사랑의 원리가 도덕법칙에 앞선다면 도덕적으로 악한 것이다. 이러한 도덕적 악에 대한 이해방식은 『종교론』이나 『실천이성비판』이나 큰 차이가 없다. 두 저작의 근본적인 차이는 칸트가 『종교론』에서 ‘인간은 본성적으로 악하다’라는 근본악 테제를 제시하면서 인간에게 근절할 수 없이 자리하고 있는 악의 성향을 강조한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근본악 테제는 칸트의 실천철학 체계와 충돌한다.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면, 인간이 본성적으로 타락해 있다면, 도덕성 역시 궤멸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본악의 절멸불가능성을 이야기하면서도 칸트는 다른 한편에서 극복악의 극복가능성을 주장한다. 이런 이율배반적인 상황 - 근본악은 극복되어야한다/근본악은 근절될 수 없다 - 의 해결을 위해 칸트는 『종교론』에서 다시 희망을 이야기한다. 도덕적 주체는 심정의 혁명과 점진적인 도덕적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지만, 이러한 중단 없는 노력의 토대에는, 인간의 근원적인 선의 소질이 결코 완전히 부패되지 않았으며, 언젠가는 선의 소질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 도덕적 개선에 대한 당위적 명령에서 나오는 희망, 그리고 더 상위의 협력을 통해 결국에는 심정의 혁명을 완수하리라는 희망이 놓여 있다. 이러한 희망은, 비록 도덕적 주체가 자신의 유한한 한계로 인해 실제로 근본악을 완전히 극복할 수 없다 해도, 그럼에도 언젠가는 근본악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러한 희망을 가진 인간은 자신의 유한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탈-한계를 지향하며, 스스로를 무한히 도덕적으로 기투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끊임없이 탈한계를 기투하는 인간 - 바로 이 지점에 유한한 도덕적 인간의 숭고함이 놓여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s the problem of the radical evil, one of main topics in Religion, in relation to system of moral philosophy in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and intends in particular to show that possibility of overcoming of the radical evil ultimately depends on "religious hope" of the moral subject. According to Kant, it is morally evil that principle of self-love precedes moral law, when both immediately contradict each other. Concerning the moral-evil there is no littl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both works is that in Religion Kant underlines propensity to evil which is deeply rooted in human nature, asserting that 'the human is evil by nature', But the thesis of radical evil in Religion is in itself inconsistent with Kant's system of practical philosophy. Because morality seems to be totally destroyed and can no more be actualized, if the human is radical evil and corrupt by nature. But Kant claims impossibility of uprooting of the radical evil on the one hand, argues but possibility of overcoming of it on the another hand. In order to solving such antinomic situation - the radical evil must be overcomed/the radical evil can not be eradicated - Kant proposes also the religious hope of the moral subject. Although moral subject can not actually overcome the radical evil due to his finite limitation, to his congenital defect, he can ceaselessly endeavor for Revolution in the mind and moral betterment, if he can hope that basic predisposition to good is by radical evil never entirely corrupted, that he someday can restore predisposition to good and that he can accomplish finally Revolution in the mind through higher cooperation. Such hope enables him to believe that he can overcome the radical evil at some day. Who has such hope, can throws infinitely himself for the moral betterment, in spite of his finite limitation. That the moral subject, acknowledging his limitation, throws himself constantly for transgressing of his limitation - precisely on this point lies moral sublimity of the hu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