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정악(正樂)의 전개와 인천의 음악인들 (A study about the role of incheon musicians as an respect of modern Jeongak meaning chang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4.08
35P 미리보기
근대 정악(正樂)의 전개와 인천의 음악인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21호 / 79 ~ 113페이지
    · 저자명 : 임혜정

    초록

    전통사회에서는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음악을 이르던 용어인 “정악”이 근대 사회에서 접어들면서 특정 악곡들을 지칭하는 장르명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근대 정악의 전개는 조선정악전습소, 조선음악협회, 그리고 문인 음악을 전승하고 보급하기 위해 결성되었던 각 지방의 동호회 등의 활동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 중 조선정악전습소는 실제 그들이 연주하는 음악에 대한 장르명으로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도 정악이라는 용어 대신 음률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즉, 근대 정악의 전개에 있어서 현악영산회상 등의 줄풍류 음악, 그리고 가곡에 대한 장르명으로 “정악”이 사용되는데 있어서 조선정악전습소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았다.
    이에 반해 각 지역에서 활동했던 정악 관련 동호회, 그리고 1920년대 후반에 조직된 조선음악협회의 활동이 “정악”이 줄풍류 음악 및 가곡, 시조 등을 한데 묶는 장르명으로서 정착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문인 음악을 계승하고자 하는 각 지방의 동호회 활동은 1910년대 후반 이후 1920년대에 이르기까지 주로 나타났으며 인천의 이우구락부는 그 중 대표적인 단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우구락부의 회원들이 스스로 연주했던 음악에 대해 장르명으로서 “정악”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러한 이우구락부의 후원 등에 힘입어 1920년대부터 정악이라는 장르의 음악 연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던 배경을 지녔던 인천의 음악인들이 조선음악협회를 설립에 관여하게 되었다. 나아가 당시 정악을 연주했던 인천의 음악인들은 조선음악협회의 활동을 통해 서울 및 전국을 대상으로 활동지를 넓혀 나갔다.
    그리고 조선음악협회는 그들이 연주하는 음악 중 관악 합주 음악은 물론이며 영산회상과 같은 줄풍류 계열 기악곡들, 그리고 가곡을 묶어서 정악이라는 장르 명칭을 사용했다. 이렇게 근대화되기 시작한 문인 음악에 대해서, 정악이라는 장르명을 사용하게 되는 흐름에는 각 지역에서 조선 시대 문인 음악을 계승하고자 했던 이들의 모임이 관련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인천의 이우구락부, 그리고 인천의 음악인이 참여한 조선음악협회의 음악 활동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영어초록

    The meaning of the term Jeongak(정악) has been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In traditional society, the term Jeongak was the concept of the ideal music, but in modern society, the meaning of the term Jeongak has been changed to the name of genre of certain music piece. The modern concept of Jeongak is mainly related to the music group movement such as Joseonjeongakjeonseupso(조선정악전습소), Joseoneumakhyuphoi(조선음악협회) and the regional jJeongak music club activity.
    Among the groups, Joseonjeongakjeonseupso(조선정악전습소) took a small part in the stage of the change of Jeongak meaning. They preferred to use the term Eumyul(음률) instead of Jeongak(정악) as a name of their music repertory like Hyunak-Yeongsanhoisang(현악영산회상) and Gagok(가곡) until 1930's.
    In contrast, the movement of the regional Jeongak hobby club and Joseoneumakhyuphoi(조선음악협회) which is organized in late 1920’s took a major part in the change of Jeongak meaning. They used the term Jeongak as a integrated genre name of music like Julpoongnyu(줄풍류), Gagok(가곡) and Sijo(시조).
    The regional Jeongak music club movement which is organized under the purpose of preserving literati music culture from Joseon dynasty was mainly appeared from the late 1910's to the 1920’s. Yiwukurakbu(이우구락부) of Incheon was one of the leading organizations. The music repertory of Yiwukurakbu(이우구락부) was called as a “Jeongak” as a term of genre name of their music.
    The musicians who were familiar with the modern concept of “Jeongak” by the experience of concert playing in Yiwukurakbu(이우구락부) in 1920’s, became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Joseoneumakhyuphoi(조선음악협회). Furthermore, Incheon musician’s activity area was expanded to the whole country by participating as a member of Joseoneumakhyuohoi(조선음악협회).
    Wind ensemble, string ensemble(Yeongsanhoisang영산회상) and Gagok(가곡) was played together under the title of Jeongak at the Joseoneumakhyuphoi(조선음악협회)’s music concert.
    The regional jJeongak hobby club which is organized under the purpose of preserving literati music culture from Joseon dynasty took a major part in the Jeongak meaning change. Among them, the musician from Incheon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Jeongak meaning by organizing the group activities like Yiwukurakbu(이우구락부) and Joseoneumakhyuohoi(조선음악협회).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