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응-‚ 본회퍼와 아렌트의 악의 이해를 중심으로 (Practical Response to the Problem of Evil - Focusing on Bonhöffer and Arendt’s understanding of evi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응-‚ 본회퍼와 아렌트의 악의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2권 / 2호 / 87 ~ 116페이지
    · 저자명 : 박종균

    초록

    정치철학자 아렌트와 신학자이자 목회자 본회퍼는 악에 대한 사유 방식을 달리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측면에서 대화의 단초가 마련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악이 주는 도전에 대한 건설적인 대응 측면에서도 그들의 통찰은 서로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자는 기존의 악의 이해를 변형시키는 것과 마찬가 지로 기존의 자유에 대한 이해를 변형시킨다. 그들은 악의 이해에서 우리가 직면 하는 한계가 그것의 이해에서의 한계, 즉 자유의 한계에 대한 모종의 제안을 제공 해주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양자는 악에 대한 인식론적인 겸허가 우리가 악과 부딪히면서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선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웅변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악에 직면하게 될 때 악에 대한 분석과 설명의 이론적인 자원만 가지고서는 오늘날 악의 도전에 대응하기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자는 악의 이론에 대한 인습적인 접근에 대한 비판적 반성으로 본회퍼와 아렌트가 이론에 대한 최소화를 실천적으로 제안했던 바를 주목했다. 중요한 것은 양자는 현실 적합성을 결여한 이론적 이해 대신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들은 악의 문제에 실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분석과 같은 이론적 작업만으로는 불가능하 다는 점을 피력했다 하겠다. 기본적으로 양자 모두는 현실적으로 경험되는 악은 인습적인 세계 이해의 차원에서는 도무지 파악되기 어려울 정도로 불합리하고도 모호한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악을 극복하는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본회퍼는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세계의 현실에 책임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장 하며 이에 비해 아렌트는 세계사랑의 실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렌트가 정치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참여적 행위를 훼방하는 외적이고 공적인 악에 초점을 맞추면서 우리가 정치적으로 말하고 행위 하는 것을 통해 전체주의 적인 악에 대해 저항했고, 본회퍼는 그리스도의 현실에 참여를 방해하는 거짓된 종교적 신앙과 그리스도의 타자를 위한 삶을 모방하고 세계 속에서 고난당하는 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훼방하는 전체주의 악에 저항했다는 점에서 양자는 악에 대한 투쟁에서 통일된 전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t ways of thinking on evil between theologian and pastor Dietrich Bonhöffer and political philosopher Hannah Arendt, their insights do not only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dialogue in the practical sense, but also will likely seek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constructive responses to today’s challenges of evil. Both transform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freedom, as well a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evil. They suggest that the limitations we face in the understanding of evil can make some suggestion about the limits of understanding, the limits of freedom. Both profess that the cognitive modesty of evil can be a potential goodness that we can realize in the face of evil.
    This study emphasizes the fact that when we face evil, the theoretical resource of analysis and explanation of evil is not enough to meet the challenges of evil today. In this sense, this author notes that Bonhoeffer and Arendt proposed practical minimization of theory as a resistance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theory of evi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oth have transformed inappropriat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evil into practical programs. They pointed out that theoretical work alone, such as conceptual analysis of evil, would not be possible to provide clues to practically respond to the problem of evil. Fundamentally, as they agree that the evil experienced in reality is unreasonable and obscure, unsui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ne proposes responsible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the world (Weltwirklichkeit) revealed in Christ and the other does practice of world-love (amor mundi) as a way to overcome evil. Arendt resisted totalitarianism’s evil through politically speaking and acting, focusing on external and public evil that undermines our participatory action into the political world, and Bonhoeffer resisted the false religious beliefs that hindered him from participating in Christ’s reality, imitating Christ’s life for others, and the totalitarian evil that undermined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ose who suffer in the world. It is in this regard that both can form a unified front in the struggle against ev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