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재집』을 통해 본 내상(內喪)의 의례와 음식 연구 (A Study on Ritual and Food of Wife's Death through 『Seongjaejib』)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09
42P 미리보기
『성재집』을 통해 본 내상(內喪)의 의례와 음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차문화산업학 / 45권 / 131 ~ 172페이지
    · 저자명 : 최배영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 반가(班家)의 상례문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신응순(辛應純:1572-1636)의 『성재집(省齋集)』 내상잡의(內喪雜儀)에 나타난 의례와 음식의 실상 그리고 그에 내재된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에는 의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진전되어 중국과 조선 제가(諸家)의 예설(禮說), 예속(禮俗) 그리고 이를 탐구하는 학자 자신의 경험이 담긴 예서(禮書)의 저술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성재집』 내상잡의도 상례에 관한 신응순의 연구 노력과 그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물이었다. 둘째, 생활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1615년 5월 전남 영광군 신응순 가(家)의 내상(內喪)은 아버지가 생존해 계시는데 어머니가 돌아가신 부재모상(父在母喪)에 해당되었다. 이에 자녀들은 1년 동안 자최장기(齊衰杖朞)의 의례를 행한 후 심상삼년(心喪三年)을 이어나갔다. 셋째, 내상의례에 수반된 고인을 위한 음식은 준비와 진설에 있어 산 사람을 섬기는 것과 같은 정심(正心)과 정행(正行)의 예(禮)가 중요시되었다. 조객(弔客)을 위한 음식으로는 차(茶)를 대접하였는데 이는 사치보다는 검소한 예를 지킬 수 있고 손님은 슬픔을 다하는 정중한 예를 행할 수 있는 음식으로 그 가치가 언급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찰한 『성재집』 내상잡의는 상주로서 신응순이 직접 경험하고 기록한 의례와 음식의 실상을 보여주며, 이는 당시 사회가 지향한 규범적 지침의 이행, 그가 학자로서 심도 있게 탐구한 예학의 이론 적용, 아내를 향한 정(情)와 예(禮)가 공존하는 행례, 그리고 변례(變禮)의 상황에서 융통성이 발휘된 상례문화를 반영하였다.

    영어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ongjaejib』, a 17th-century literature written by Shin Eung-soon(1572-1636). The purpose of the thesis was to analyze his wife's death ritual, food, and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The major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academic research on rituals progressed, and the work of writing books on rituals containing the views of many scholars, social customs, and experiences of researchers was in earnest. Shin Eung-sun also recorded the funeral rite for his wife based on his research and experience. Second, the death of the wife of Shin Eung-soon, Yeongnam-gun, Jeollanam-do, in May 1615 was a case where the mother died while the father survived to the children. The children then performed rituals for their mother for one year, and for the next two years they mourned and missed their mother in their hearts. Third, the food for the deceased accompanying the rituals was regarded as courtesy such as serving the living in preparation and table setting. Tea was served as a food for mourners, its value was mentioned as food that could keep frugality and perform politeness with sorrow. In conclusion,『Seongjaejib』showed the reality of rites and foods that Shin Eung-soon experienced and recorded at his wife's funeral. These represented a culture that reflected the implementation of normative guidelines oriented to society at that time, the application of ritual theories he explored in depth as a scholar, the practice of coexistence of affection and courtesy towards his wife, and the flexibility of the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문화산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