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무라 마스오를 따라 일제 말기 제주 문학 읽기 (Reading Jeju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Omura Masu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5
30P 미리보기
오무라 마스오를 따라 일제 말기 제주 문학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3호 / 9 ~ 38페이지
    · 저자명 : 윤대석

    초록

    이 논문은 오무라 마스오의 연구에 비추어, 일제 말기에 활약한 제주 출신 신인작가 오의진과 이시형의 삶을 드러내고 그들의 소설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간접적으로 오무라 마스오가 제주 문학, 나아가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시각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그동안 자료나 언어의 문제 때문에 거의 논의되지 못했던 1943년에서 1945년에 이르는 태평양 전쟁 말기 소위 ‘결전 문학’의 일단을 이러한 논의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우선 이 논문은 그동안 창씨명으로 불렸던 작가의 본명을 밝히고 삶을 재구성하였다. 창씨명이 구레모토 아쓰히코인 오의진은 일찍 고향인 제주를 떠나 목포에서 상급학교를 다닌 후, 천안, 광천 등지에서 은행원으로 일하며 일본어로 소설을 써 현상 공모를 통해 등단하였다. 창씨명이 미야하라 산지인 이시형은 고향인 제주에서 교사로 지내며 그 경험을 투영한 일본어 소설을 썼다. 해방 이후 그는 사회 변혁 운동에 가담했다가 국가 권력에 의해 학살된다.
    이들의 문학은 조선적인 것 혹은 제주적인 것과 외부적인 것의 길항을 그리고 있다. 오의진의 「긍지」, 이시형의 「이어도」가 그 대표적인 소설이라 할 수 있고 그런 점에서 신지방주의 이후 『국민문학』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무라 마스오는 그 가운데 조선적인 것, 민족적인 것의 고수로 이들 소설을 해석함으로써 어떤 편향을 드러낸다. 이러한 편향이 일제 말기 제주 문학에 대한 오무라 마스오의 기본적인 시각이며 동시에 한국문학에 대한 그의 애정과 구식민자로서의 책임감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In light of Masuo Omura’s research,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lives and novels of Oh Ui-jin and Lee Si-hyung, who wrote novels in Japanes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is, this thesis attempted to indirectly reveal the perspective of Masuo Omura’s research on Jeju literature and even 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reveal a section of literature from 1943 to 1945, which had been rarely discussed due to data or language problems.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real name (Oh Eui-jin) and life of the writer, who was called only as his Japanese name, Atsuhiko Gureimoto. Leaving his hometown of Jeju early on, Oh worked as a bank clerk in Mokpo, Cheonan, and Gwangcheon, and wrote a novel in Japanese to apply for various contestants. Lee Si-hyung wrote a novel in Japanese using his experiences as a teacher in his hometown of Jeju. After liberation, he joined a movement for social transformation and was slaughtered by the power of the nation-state.
    Their literature depicts the antagonism between the Korean or Jeju-style and the outside. Oh Eui-jin’s “Proud” and Lee Si-hyung’s “Ieodo”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novels, and in this respect, they have inherited the spirit of “Kokumin Bungaku(國民文學)”. However, Masuo Omura reveals a certain bias by interpreting these novels as the master of the Korean and the ethnic among them. This bias forms the basic perspective of Masuo Omura’s research on Joseo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