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승 자료를 통해 본 신라통일기 기장지역의 불교 (Buddhism of Gijang during the Periodof Unified Silla Kingdom by an Analysis of Folktal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5
40P 미리보기
전승 자료를 통해 본 신라통일기 기장지역의 불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31호 / 217 ~ 256페이지
    · 저자명 : 조원영

    초록

    이 글은 기장지역에 남아 있는 사찰의 창건 설화나 그 외의 전승 자료를 통하여 신라통일기 기장지역의 불교에 대해서 분석한 것이다. 기장지역 불교 관련 전승 자료는 크게 원효와 혜통에 관련된 것이다. 원효와 관련된 자료는 안적사 창건 설화, 옥정사 관련 전승 설화, 선여사 관련 전승 자료, 척판암과 장안사 창건 설화 등이 있고, 혜통과 관련된 자료는 장안사의 절 이름을 바꾸게 된 내용을 담은 설화가 전한다.
    신라통일기 기장지역 불교 관련 전승 자료에서 나타난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자료가 원효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당대 최고의 불교사상가였던 원효가 기장지역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방증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원효의 사상과 그가 제시한 불교신앙이 기장지역에 널리 전파되었음을 의미한다.
    원효가 일반 민들을 교화한 주된 내용 가운데는 관음보살에 대한 신앙과 아미타정토신앙, 미륵정토신앙 등이 있었다. 특히 전승 자료에서 자주 등장하는 관음보살은 현세의 이익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아미타정토왕생을 인도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던 것 같다. 한편 원효는 미륵경전을 해석한 저술도 남긴 것으로 보아 일반 민들에게 미륵정토왕생에 대해서도 가르침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원효 당시에는 막 정토신앙이 형성되는 시점이었으므로 일반 민들은 아미타정토와 미륵정토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신앙대상으로 존숭하였으므로 원효 또한 그들에게 특별한 구별 없이 일상 속에서 정토를 꿈꾸며 수행하도록 지도하였을 것이다.
    원효는 이러한 일반 민들을 교화하는 방법으로 개개인에 대한 교화도 행하였지만 신앙결사를 조직하여 그들을 이끌어 나갔던 것으로 짐작된다. 하나의 신앙결사는 하나의 사찰과 연결되어 사찰에서 거행하는 많은 불사를 지원하는 조직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장지역의 여러 사찰에도 이와 같은 민간 신앙결사가 이루어져 조직적으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한편 효소왕대 기장으로 와서 이 지역 사람들에게 해독을 끼쳐 괴로움을 주던 독룡을 교화하였다는 혜통의 행적이 전한다. 독룡이라는 존재는 형상적인 용이라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의술로는 치유하기 어려운 난치병을 일컫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혜통이 악한 용을 교화하였다는 것은 바로 질병을 치유하는 기능이었던 것이다.
    사료 상에 전하는 혜통의 행적을 보면 병을 고치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어 제병밀교의 성격을 갖는다. 손을 쓸 수 없는 심각한 질병에 고통 받던 기장지역의 민들에게는 혜통의 제병 주술이 크게 각광을 받았을 것이다. 또한 밀교는 각지의 토속신앙이 가진 여러 신들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토속신앙과 접하면서 이 지역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을 것이다.
    기장지역에 남아 있는 사찰 관련 전승 자료를 통해 보면 원효의 아미타정토왕생신앙과 미륵정토왕생신앙이 널리 전해지면서 이 지역의 일반 민들을 교화한 바탕 위에 뒤이어 헤통의 제병밀교가 이 지역에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신라통일기 기장지역 불교신앙은 염불 수행을 통한 아미타정토신앙의 확산 및 관음신앙, 미륵정토신앙과 함께 주술을 통한 제병과 관련한 밀교가 기장지역 불교의 특색으로 자리 잡으면서 인근 지역과는 또 다른 다양성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아울러 국가불교의 경향이 강한 왕경과는 다른 이 지역 특유의 토착신앙과 결합된 토속성 짙은 불교문화를 향유하고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Buddhism of Gijang by analyzing the founding myths or the other folktales of temples of this area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Silla Kingdom. During this period, the dominant characteristic of the folktales of Buddhism is that all materials are related to the monk, Wonhyo. This means that the ideas of Wonhyo were widely spread in this area.
    The faiths propagated to the people by Wonhyo are the sects of Avalokitesvara, Amitabha, Maitreya, etc. The way Wonhyo enlightened the people of Gijang was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collective edification by an organization of faith groupes. Faith groups would have been an organization that supported the works of templ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s on acts of Hyetong are handed down in this area. He came to Gijang and enlightened Dokryong(毒龍) which bothered the people in the time of King Hyoso. Dokryong means not animal but an incurable disease which was hard to be cured by medicine at that time. That Hyetong enlightened Dokryong means is just to cure a disease.
    Accordingly, we can understand by the folktales of Buddhism of Gijang that Pure Land Buddhism of Wonhyo was widely spread in this area, and then Esoteric Buddhism of Hyetong was propagated on the basis of Wonhyo's work. As a result Pure Land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for treat a disease of Gijang has a distinct difference with its surrounding region. So, the indigenous Buddhist culture might has been formed in Gijang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Gyeongju's one formed around the country and the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