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지역 아라리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transmitting aspects and musical features of Arari songs in Chungbuk region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충북지역 아라리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9권 / 329 ~ 360페이지
    · 저자명 : 조순현

    초록

    본 논문은 충북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아라리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충북지역 아라리의 전승 방향을 제시해 본 글이다. 『MBC민요대전』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충청북도(1995).
    에 수록된 <아라리>16곡과 『충북의소리』 조순현, 『충북의 소리』(충청북도, 2010).
    에 수록된 3곡, 『충북의민속문화』 국립민속박물관, 『충북의 민속문화』(2012).
    에 수록된 1곡 ,현장 채집한 4곡을 대상 곡으로 분석했다. 충북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아라리는 음악적 특성에 따라서 <긴아라리 계통의 노래>, <자진아라리 계통의 노래>로 구분된다. 긴아라리 계통의 노래는 주로 남성이 부르는 농업노동요와 기타노동요로 나타난다. 자진아라리 계통의 노래는 주로 여성이 부르는 노동요와 유희요 등으로 나타난다. 기능적 특성은 노동요와 다기능요로 나타난다. 가창방식은 노동의 종류에 따라 독창이나 교환창으로 부른다.
    음구성은 <미, 라, 도>음이 주요음이며 <미>음과 <라>음으로 종지음을 삼으며 동도종지형태가 많이 나타나는 메나리토리이다. 음폭은 주로 단7도로 낮은 음역으로 부르며 박자구조는 3소박 4박자의 정형화된 장단에 시김새가 적게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이전에 충북에서 불려졌던 <자진아라리 계통의 노래>가 청주시를 중심으로 충북전지역에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aking a close look at the transmitting aspects and musical features of Arari songs in Chungbuk regions, the results show as follows. Arari songs transmitted in Chungbuk are divided into the long Arari ones and Jajin Arari ones according to its musical features. The long ones were usually sang in Cheongwon, Eumseong, Jecheon, and Danyang areas as farming songs mostly sung by men and tree cutting songs. The long Arari songs as work songs are categorized into Mojjineun sori, Mosimneun sori, Nonmaeneun sori, and the songs sung while going to cut trees. Jajin arari songs were usually sung as play songs in Jeongam Village, Yanbian. Singing styles are either solo or a giving and receiving style.
    The long arari songs are made up of solo and pre and post-chorus. It was sung for chorus when people were working together like Mojjigi, Mosimgi, and Nonmaegi; it was sang for solo when they were working alone. The structure of tempo is 3 sobak and 3 bakja.
    The structure of tempo shown in Jajin arari songs is 3 sobak and 2sobak, which is Eotmori rhythm two. The musical notes are mainly (Mi, Sol, La, Do', Re'). <La> and <Mi> sounds are used for endings and the ending with the same melody is the most common ending form. The ending melody is the horizontal types with the same melody and the lowering types going to lower sounds. Sigimsae begins from <La>, <Sol>, back to <Mi> mostly seen in Menarit'ori. Chuseong is seen moving from <Mi> to <La>, from <La> to <Do>, from <Do> to <Re>. Tweoeong is also seen moving from <Re> to <Do>, from <Do> to <La>, from <La> to <Mi>. No trembling sound is seen as it is sung clearly.
    The singing styles of Jajin arari songs are made up of solo and pre and post-chorus. It was sang for chorus when people were working together like Banga sori; it was sang for solo when they were working alone.
    Out of the Jajin arari songs, Cheongju Arirang is very important and worth preserving. It is the song that has been preserved by Chungbuk people who moved to Jeongam Village, Yanbian by the Japanese migration policy in 1938.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the original songs sung in Chungbuk have been well preserved in Jeongam Village.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untryside, the working places are disappearing. The songs are disappearing as well. Therefore, these songs are needed to be recorded and preserved without ruining their prototyp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