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Hong-Gil-Ju(洪吉周)'s the dream of ‘Sam-Sa(三事)’)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45호 / 291 ~ 318페이지
    · 저자명 : 박무영

    초록

    본 연구는 홍길주의 저작인 『孰遂念』에 대한 주제적 측면에서의 연구이다. 『숙수념』의 제8관인 「三事念」은 ‘三事’에 대한 담론을 다루고 있는 장이다. ‘삼사’ 중에서도 기용의 이용에 대한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삼사념」인데, 이 속에 제시되는 기물들은 기본적으로 ‘삼사’에 관련된 담론의 현현물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한편 이 「삼사념」에 놓인 기물 중 하나인 베틀은 그 자체가 『숙수념』의 은유이기도 하다. 즉 「삼사념」은 홍길주 자신에 의해서 『숙수념』 전체의 은유로도 해석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삼사’ - 특히 이용후생의 이상을 둘러싼 담론은 『숙수념』의 세계를 구성하는 기획 이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인다.
    「삼사념」 속에 놓인 기물 중 하나인 여의침에 붙여진 「如意枕銘序」는 당대의 현실학문 풍토를 좌우했던 성리학과 고증학에 대한 비판과, 나아가 그 자신이 상당한 식견을 지니고 있던 도교나 불교적 취향에 대한 비판을 거쳐 ‘삼사’의 학문적 결론에 도달하는 탐색의 경로를 환몽기의 형식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삼사념」 전체의 서문에 해당한다.
    「삼사념」의 기타 기물들과 기물명/찬을 통해서는 ‘이용후생’과 관련된 갖가지 사고들을 드러낸다. 여기에는 현실의 음화로서의 환상세계라는 『숙수념』의 성격이 드러난다. 즉 「삼사념」에는 후생의 책임을 져야하는 지식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자임하는 만큼, 현실적인 실현의 가능성에 좌절한 지식인의 자화상이 드러난다. 이 점에서 현실의 음화로서의 측면을 드러낸다.
    한편 실용성에 초점을 맞추는 조선후기 이용후생학파의 삼사에 대한 이해와는 달리, 담론에 치중하거나 수학적ㆍ과학적 상상력 자체에 유희적으로 몰두한다는 점도 홍길주의 ‘삼사’가 갖는 특징이다. 즉 홍길주의 「삼사념」은 실용성에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대표적인 이용후생지구에 대해서도 관념적으로 해석하는 명을 붙여놓았을 뿐이며, 수학적 기기를 창안하고 있지만, 실제 이 기구들에서 보게 되는 것은 실용성이 아니라 자족적인 수학적 상상력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홍길주의 이용후생 관념이 실제 당대의 이용후생학파들의 이용 관념과 다른 지점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theme of “Sug-Su-Nyeom(『孰遂念』)” through the chapter of “Sam-Sa-Nyeom(「三事念」)” from the book “Sug-Su-Nyeom” written by Hong-Gil-Ju(洪吉周). In the chapter “Sam-Sa-Nyeom” there is the prose “Yeo-Ui-Chim-Myeong-Seo(「如意枕銘序」)”, showing the Sug-Su-Nyeom's fantasy-like features. Therefore the manuscript has its debate centered around the “Yeo-Ui-Chim-Myeong-Seo” especially. The “Yeo-Ui-Chim-Myeong-Seo” carries the structure of “journey to explore the truth.”This journey to explore the truth is a journey of exploration for academic ideal. This journey of exploration reaches something that is the ideal of academic study of “Sam-sa (三事).”The other parts of the “Sam-Sa-Nyeom,” include diverse discussions that are relat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Yeo-Ui-Chim-Myeong-Seo” reaches - the goal of scholarly work is “to create convenient tools that make the people's life much more fulfilling.” In this way it deals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intellectuals who are in charge of the academic ideals and it also shows the pursuit of mathematic and scientific knowledge.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frustration of intellectuals who aren't given realistic opportunities to act on their ideals. It also shows the tendency to be absorbed in a game of idea. As a result this is the true form of “Sug-Su-Nyeom.” In other words, “Sug-Su-Nyeom” is the world of reverse-reality that was created by intellectuals who eventually were unable to get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at ideal although they were voluntarily in charge of the responsibility for “I-Yong-Hu-Saeng(利用厚生).”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