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보산업 양상을 통해 살펴본 한국 현대음악문화사 (A Histor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Culture through Score Publication Indust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악보산업 양상을 통해 살펴본 한국 현대음악문화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 수록지 정보 : 음악이론연구 / 15권 / 176 ~ 201페이지
    · 저자명 : 손민정

    초록

    “악보산업 양상을 통해 살펴본 한국 현대음악문화사”는 한국 현대음악문화를 해석하는 기존의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며, 악보 출판 산업과 연관된 음악문화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 악보 출판 산업은 근대기에 시작되었으며 한국전쟁 즈음에 눈에 띄는 성장을 보여 음악 산업의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한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초기 단계로서 우선적으로 한국 전쟁이후 서울지역의 한국 악보 산업에 한정지으며, 악보 출판 산업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한국 현대 사회의 상황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분석대상으로 거론되는 것은 1950년대 한국전쟁, 1970년대부터 시작된 록밴드의 활성화, 1970~80년대 대두된 중산층 이데올로기, 1987년 국제 저작권협약 가입, 공교육의 교육과정 개편, 대중음악의 음악적 변화 등이 있다. 유행가 가요집으로 활성화된 악보 산업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한국인의 정서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몸부림과 연관되어지며, 1970년대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피아노 교재 출판 산업은 경제성장과 함께 형성되었던 중산층 이데올로기, 중학교 입시제도 철폐 등의 예체능 교육열기와 연결되어 해석되어진다. 이후, 다양한 피아노 교재 개발은 1987년 국제 저작권협약 가입의 결과라 보여지며, 유행가 가요집의 변천사에는 가요의 음악적 변화와 직접적 연관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방법론은 음악인류학에 근거하며, 악보 출판 산업에 연관된 다양한 사람들과 실행한 인터뷰에 일차적 자료를 얻었다. 인터뷰 대상에는 주요 악보 출판사의 임원진, 영업사원, 피아노 학원 선생님, 일반 대학생(음악전공자가 아닌) 등의 다양한 생산자 및 소비자가 속한다. 이들의 기억은 신문, 학술지, 정기간행물 등에 기재된 자료와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진실성을 검증하였으며,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 한국전쟁 이후 ~ 1970년대: 유행가 가요집의 활성화, 2. 1970년대 중반 ~ 1990년대: 피아노 악보산업의 전성기, 3. 2000년대의 양상.

    영어초록

    This research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method to explore the contemporary Korean music culture involved in the score publication industry. The Korean score publication industry began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developed as a crucial music industry around the Korean War. This research, as an initial attempt in this area, focuses on the intricate relations between the score publication industry and the music culture after the Korean War. In doing so, this work examines contemporary Korean social circumstances deeply related to the score publication industry, such as the Korean War in the early 1950s, joining of the Universal Copyright Convention in 1987, the glory days of rock bands (also called group sound) in the 1970s, the emergence of middle-class ideology in the 1970s~80s, curriculum of public school, and the transformation of popular music idiom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based upon extensive interviews with those who have been related to the score publication industry, such as managers of major score publishers, salespersons of music scores, and diverse consumers. The memories of the informants were cross-examined with archival works, including journals and newspapers.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1) Emergence of Popular Songbooks: 1950s ~ 1970s, (2) Heyday of Piano Scores: mid 1970s ~ 1990s, (3) Current Situation: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