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창조적 생산성 (Habitus and Creative Productivity of Fashion Brand Fando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창조적 생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4호 / 433 ~ 456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이미숙, 제레미

    초록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은 자신들이사랑하는 브랜드를 그들의 아비투스에 따라 창조적으로 매치한 일상의 자신을 개성 있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상품을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슈머가 되어 새로운 패션 브랜드의 이미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NS 공간 속에서 패션 브랜드 팬덤에나타난 다양한 참여자들의 아비투스가 무엇이고 UGC 가 어떻게 창작, 생산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브랜드팬덤 문화와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진행되었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팬덤과 아비투스,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 시각적 은유와의미작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 팬덤의 SNS를 사례로 데이터 마이닝, 상위UGC에 대해 의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패션 브랜드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실천은 그들의 소비 심미 엘리트, 신자유주의적 자아, 이지적 우월감, 행복의 시연, B급럭셔리, 열정적인 취미가이자 브랜드 추종자적 아비투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플랫폼에 나타난 패션 브랜드 팬덤 UGC에는 과시와분리, 일상적 실재감, 내파와 융합, 열정과 감성, 상호작용성 등의 미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내재된 미적 특성을 토대로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을 도출한 결과, 유연한 유희적 체험, 자아결부 및 인격화, 인지가치 구조화로 정리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은 패션 브랜드를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끄는중요한 원동력으로, 브랜드에 대한 강력한 사랑과 열정을 기반으로 관심과 경험, 소통, 지지, 옹호, 공유, 자발적 참여 등을 유발하고 브랜드에게 몰입하게 하는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주도에의한 브랜드 소비와 재생산, 브랜드 팬덤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소비자 지향 브랜드 구축,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 등, 패션 브랜드 경쟁력 확보 및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있다.

    영어초록

    Fashion brand fandom in the era of social media is producing new images of the fashion brand by becoming a prosumer who creatively matches their beloved brand according to their habitus and simultaneously consuming the product in a way that expresses their daily self in a unique way. Thu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brand fandom culture an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y analyzing the habitus of various participants in fashion brand fandom in SNS and how UGC is created and produc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study considered fandom and habitus, fashion brand fandom in the social media era, and visual metaphor and semantic action. In empirical research, by conducting data mining and semantic analysis on the top UGC of fashion brand fandom‘s SNS, we deriv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ashion brand fandom’s habitus and their UGC and considere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ased on this. First, the practice of fashion brand fandom has been shown to exhibit their consumption aesthetic elite, neoliberal ego, intellectual superiority, demonstration of happiness, B-luxury, passionate hobby and brand evangelism habitu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brand fandom UGC, which appeared on social media platforms,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overexposure and separation, everyday reality, internal wave convergence, passion and sensibility, and interaction. Third,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fashion brand fandom and UGC,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the fashion brand fandom could be arranged into a flexible playful experience, self-association and characterization, and the structuring of the cognitive value.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research is that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fashion brand fandom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hat can lead fashion brands to sustainable growth. In other words, fashion brand fandom has the value of inducing interest and experience, communication, support, advocacy, sharing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its strong love and passion for the br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for securing and developing fashion brand competitiveness, highlighting the value of brand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by consumer initiative, building consumeroriented brands, establishing communication strate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