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繪畫를 통한 疏通: 朝鮮에 전해진 日本繪畫 (Communication through Paintings: Japanese Paintings sent to Joseon,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繪畫를 통한 疏通: 朝鮮에 전해진 日本繪畫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1호 / 15 ~ 44페이지
    · 저자명 : 박은순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본회화의 조선 유입이라는 관점에서 한일회화교류의 문제를 정리하여 보았다.조선의 경우 일본회화에 대한 관심은 조선 초부터 확인된다. 조선 초 일본으로부터 국왕사를 비롯하여 여러 지역의 사신들이 도래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기록에 의하면 이들은 대부분 금박병풍과 채화선을 선물로 바쳤다. 방물 중 이런 작품들이 포함된 이유는 조선에서 이러한 회화에 대한 선호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일본이 바친 방물들은 궁중에서 사용되거나 종실과 관료들에게 하사되어 민간에 유포되기도 하였다.
    일본 금박병풍과 채화선 등은 조선 초부터 궁중에서 선호되어 일본에 보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이후 꾸준히 일본 금박병풍이 선사되었고, 17세기 통신사행 이후에도 주요한 선사품으로 도래되었다. 이 금박병풍들은 일본 최상위 어용화가 집단인 가노파와 스미요시파 화가들이 동원되어 제작된 수준높은 작품들이었고, 이러한 작품들이 실제 조선에 도래하고, 사용된 기록도 전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슈우분처럼 국왕사의 일행으로 파견된 일본의 주요한 화가와 레이 사이처럼 지역 다이묘의 사신단 일행을 수행한 화가, 일본 수묵화를 정립시킨 셋슈의 경우처럼 사신들이 작품을 가지고 와서 화찬을 받아간 사례 등도 있어서 화가를 통한 직, 간접 교류도 진행되었다. 궁중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일본 회화의 유입과 선호가 확인된다. 이러한 경우는 기록으로도, 실제 작품으로도 확인되는데 궁중과 관련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기록이나 유품이 많지 않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통신사 수행원들은 일본 유명 화가의 작품을 입수하여 귀국하였고, 이 작품들에 대한 조선인들의 평가도 높았다. 또한 정확한 유입경로는 알 수 없지만 조선에서 유통된 일본회화들도 수장, 감상되었다. 18세기의 대표적인 수장가인 김광국이 일본 우키요에를, 19세기에는 추사 김정희가 일본의 대표적인 어용화가인 다니 분초의 산수화를 보았고, 장식적인 일본 화조화를 소장하였다. 김광국이 화려한 우키요에를 낮게 평가한 반면, 김정희는 다니 분초의 남종풍 산수화와 게이분의 사실적 채색화조화 모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일본 회화에 대한 인식에 개인적, 시대적 편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회화를 모사하거나 모방한 경우도 있다. 궁중에서는 일본 금박병풍을 정조의 명으로 김홍도가 모사한 적이 있고, 민간에서는 1811년 통신사 수행화원 이의양이 다니 분초의 남종풍 산수도들을 모방한 사례도 있다. 모사나 모방의 경우 조선 측의 취향이 작용하여 선별된 작품들을 모사, 모방하였기에 일본 회화에 대한 조선 측의 인식과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기록과 작품을 통해 확인된 것은 많지 않지만 여러 가지 정황 상 실제로는 더 많은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에 입수된 일본회화는 대부분 공적 교류를 통해서 입수된 것이거나,일본에 파견된 인사들에 의하여 입수된 것들이다. 그런 배경 때문인지 대체적으로 일본에서도유명한 화가들의 수준 높은 작품이 유입되었고, 그 결과 일본 회화에 대한 조선 측의 인식은 호의적이었다. 그것은 또한 궁중이건 민간이건 간에 일본 회화를 수장하거나 감상한 인사들이 일본에 대한 관심이 높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의 기준과 취향에 맞는 작품들이 주로 입수된 것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민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일본에서의 조선 회화만큼 인기가 높고 수요가 많지는 않았지만 일본 및 일본회화에 대한 관심과 수집, 감상이 있었고, 그런 교류를 통해서 일본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증진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issues regarding interchange of paintings between Joseon and Japan,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paintings to Joseon. Interests in Japanese paintings go back to the early Joseon period. Japanese envoys from various regions, including Shogun’s envoys, those dispatched by the Shogun himself, arrived in Joseon at this period. They brought diverse offerings including folding screen paintings in gold and fan paintings in gold. Due to an existing preference in Joseon to artworks such as these, they were either used by the loyal members themselves or bestowed to loyal family members or officials. As time passed, the artworks lead into the civilian society as well.
    Folding screen paintings in gold and fan paintings in gold were consistantly offered as a gift throughout the early Joseon period, even after the Korean envoys sent to Japan after the 17th century. These exceptional folding screen paintings in gold were works of the finest court painter groups in Japan, the Kano school and the Sumiyosi school. Reliable written references illustrate the actual arrival and usage of these paintings in Joseon.
    Interchanges occurr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ainters such as Shubun and Reisai accompanied the Japanese envoys. In indirect cases, such as that of Sseshu, a master of the Japanese ink painting, Japanese envoys brought his work to Joseon to get compliments by the Korean literati and carried it back to Japan.
    The inflow and preference of Japanese artwork is identified not only in the loyal chambers but also in the civilian society. However, unlike the former case, not many paintings or recordings exist to confirm this tendency. Korean envoys sent to Japan throughout the 17th to the 19th century returned to Joseon brought back paintings of famous Japanese painters. They were regarded highly by the people of Joseon. Japanese paintings originating from unknown channels were also distributed, collected and admired. For example, Gim Kwanguk, a renowned collector of the 18th century, was recorded to have in possesion a Japanese Ukiyoe, despite his rather low admiration for it. In contrast, Gim Jeonghui, a representative painter and commentator of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owned and well admired a decorative Japanese Bird and Flower painting. He was also known to have seen and was in favor of landscape paintings in Southern school style by Tani Buncho, a represantative Japanese court painter. As seen from examples as these, Japanese paintings were objected to personal and chronological differences.
    Certain cases illustrate efforts to copy Japanese paintings in both the loyal chambers and civilian societies. Cases as such reflect more specific preference of Japanese paintings in Joseon, for the copied pieces were created with regard to it. These piec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useful sources of research to identifying Joseon’s recognition and evaluation in Japanese paintings at the time.
    Japanese paintings that flowed into the cultural pool of Joseon originated mostly from formal diplomatic relationships. Much a portion of them were fine works of important painters in Japan. As a result, people of Joseon sent positive regards to them. The civilian society also illustrated interests, examplified by collection and admiration of Japanese paintings, despite the coexisting positive and negative appreciations to them then. Researches on civilian interrelationships of the criteria remain an challenge due to insufficiency of remaining artworks and recordings. However, the value of such an effor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Existing evidences support that interchange of painting culture in civilian societies contributed to increase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towards Japanese paintings and culture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