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儀軌를 통해 본 『英祖實錄』의 편찬 체계 (A study on the compilation system of Yeongjo Sillok - focused on the analysis of Yeongjong Daewang Sillokcheong Uigwe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0.09
38P 미리보기
儀軌를 통해 본 『英祖實錄』의 편찬 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4호 / 195 ~ 232페이지
    · 저자명 : 강문식

    초록

    본고는 『英宗大王實錄廳儀軌』의 분석을 통해 『英祖實錄』의 편찬 체계를 검토하였다. 『영조실록』의 편찬은 ‘時政記 刪節→初草 작성→中草 작성→시험인쇄 및 校讎→正本 인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시정기 산절은 時政記에서 실록에 수록할 내용을 抄出하는 것으로 실록 원고의 기본 골격을 만드는 작업이다. 시정기 산절이 완료되면 그 내용의 토대 위에서 『承政院日記』 등 여타 자료들을 참고하여 初草와 中草를 작성하였다. 중초 작성 후에는 이를 조판하여 시험인쇄 및 校讎를 실시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시험인쇄본이 ‘初見’과 ‘再見’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영조실록』의 원고는 정본 인출 전까지 ‘初草→中草→初見→再見’의 단계를 거쳤다.
    『영조실록』의 편찬관은 總裁官 및 都廳과 각 房의 堂上ㆍ郎廳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실록 편찬을 실질적인 주관한 이는 都廳堂上이었다. 도청당상에는 당대의 학문과 문장을 대표하는 관료인 時任 大提學이 임명되는 것이 관례였다. 실록청의 당상과 낭청에게는 실록 편찬 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本司로의 출근이나 入直의 면제, 公會 참석 및 祭官 차출 면제, 파직된 낭청의 임시 軍職 임명 등 각종 특혜가 부여되었다. 동시에 이들에게는 맡은 편찬 분량을 반드시 완수해야 하는 책임도 주어졌다.
    『영조실록』 편찬에 이용된 자료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시정기와 『승정원일기』였다. 시정기는 산절의 대상으로 실록 원고의 토대가 되었으며, 또 시정기와 『승정원일기』에는 자료의 성격상 여타 자료들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이 이미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 연구에서 실록 편찬의 중심 자료로 강조되었던 家藏史草는 『영종대왕실록청의궤』에 이용 관련 기록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또 실록 편찬 이후 시행되는 洗草의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점들은 가장사초에 대한 기존 통설에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compilation of Yeongjo Sillok(英祖實錄) passed throught 5 steps. The first step was making an extract from Sijeonggi(時政記). It was the step extracting articles which would be included to Sillok from Sijeonggi. The second step was writing first manuscripts(初草) and third step was writing second manuscripts(中草). The first and second manuscripts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xtraction from Sijeonggi. The fourth step was test printing and proofreading of the printed manuscripts which were called Cho-gyeon(初見, copy of first test printing) and Jae-gyeon(再見, copy of second test printing). The last step was printing the original copy and binding books.
    The officials of Sillok-cheong(實錄廳) consisted of Chongjaegwan(總裁官, head of Sillok-cheong), Dangsangs(堂上, senior officials) and Nangcheongs(郎廳, working-level administrators). The real supervisor of compilation of Sillok was the Dangsang of Docheong(都廳堂上). Dangsang of Docheong demanded both great learning and excellent writing skill, so the incumbent Daejehak(大提學) who was in charge of national science and education must be appointed as Dangsang of Docheong. The officials of Sillok-cheong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s such as exemptions of going to their original offices, attending the public meetings and ancestral rites and so on.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that used for compilation of Sillok were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because Sijeonggi was the base of the manuscripts of Sillok and the most articles from other materials were already written in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 On the other hand, in Yeongjong Daewang Sillokcheong Uigwe there is no clear record about using Sacho(史草, chronicler's drafts) and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objects of Secho(洗草, washing off the manuscripts). I think it shows that Sacho were not the main materials for compiling Yeongjo Sillok but the subsidiary materials that supplement the Sijeonggi and Seungjeongwon-il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