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덕원의 다도해 민속 연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Folk Research on the Archipelago by Choi, Dukw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1.12
22P 미리보기
최덕원의 다도해 민속 연구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8호 / 309 ~ 330페이지
    · 저자명 : 이경엽

    초록

    도서민속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 연구의 흐름을 진단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부터 30여 년 동안 섬 연구를 해온 최덕원선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서민속 연구의 내용과 성과, 학사적(學史的) 의의, 과제 등에 대해살펴보았다.
    도서․해양문화라는 말이 일반화되기 이전부터 섬 연구를 선도해온 점을 높이 평가할 필요가 있다. 도서민속(島嶼民俗)에 대해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해왔다는 점은 학사적으로 각별한 의의가 있다. 연구주제를 보면 민간신앙에 대한 것이 많은데, 특히 신안지역 당제를 종합적으로 다룬 『多島海의 堂祭』는 이후의 성과와 견주어볼 때에도 두드러진 작업이라고말할 수 있다. 이외에 어로신앙, 들돌신앙, 우실신앙, 소금신앙, 부적 등을 독립된 주제로 끌어내고 논의를 확장시킨 점도 주목할 만하다. 들돌신앙, 우실신앙, 소금신앙 등은 이전에 주목하지 않던 새로운 주제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새로운 민속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한 점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다도해지역의 민속예술과 구비문학을 조사하고 정리한보고서는 학술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극복해야 할 과제도 없지 않다. 도서지역의 민속문화를 고문화(古文化)의 유습으로 이해하는 관점은, 현전 민속을 고대의 유풍으로 다룸으로써 그 문화를 전승하고 있는 현재의 사람들과 무관한 잔존문화로 보는 견해라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민속문화를 맥락적으로파악하지 않고 고정화된 텍스트로 파악하는 시각도 극복해야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한편 민속조사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자료의 수집과 집성 자체에 집중하고 외형화된 텍스트 위주로접근한 것은, 20세기 민속학의 일반적인 경향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한계라고하기보다는 종합적으로 성찰하고 극복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현 단계에서 필요한 문제의식을 개발하고, 기존 연구의 성과를 창조적으로 승계해가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ascertai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islets folklore and look for new directions, there is a undeniable need to evaluate and analyze the flow of the existing research.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ases of Choi, Dukwon, who has conducted research on islands for over 30 years since 1960 and examined the content and achievement of the research, scholastic significance, and remaining tasks of research on islets folklore.
    His work demands considerable reckoning that he led the research on islets even before the term islets․marine culture was generalized. His study on islets folklore has been continuous and focused and it has remarkable scholastic significant. Looking at the research themes, there are a lot about folk beliefs. Especially, “Dangje of the Archipelago" which comprehensively deals with Dangje in Sinan region stands out in comparison even with later achievements. Besides, he drew out independent topics such as fishing belief, barbel stone belief, Usil belief, salt belief, and charms and expanded the discussion. In addition,his achievement on excavating new folklore materials and categorizing them is of high significance. His report which researched and categorized the folk art of the Archipelago and orally-transmitted literature is deemed as highly valuable.
    Of course, there are remaining tasks. The perspective that views the folk culture of islets region as inheriting the old culture treats the current folklore as an inherited tradition and separates the contemporary people who transmit the culture from the culture, viewing it as a surviving culture. Also the perspective which looks at the folklore culture as a fixed text, rather than looking at it in a context, needs to be changed. It was a general tendency of 20th century folklore to argue for the urgency of folklore research; to focus on collecting and compiling materials; and approaching on external texts. Therefore, the remaining task is to develop an awareness that is needed at the current level and inherit the achievem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in a creative man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