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On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in Balh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12
48P 미리보기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4호 / 181 ~ 228페이지
    · 저자명 : 정석배

    초록

    중국 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아무르지역에 분포하는 발해의 성들 중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도 있고, 발해 때에 축조된 다음 이후 요·금대에 수축이나 증축을 거쳐 계속해서 사용된 것들도 있다. 그 결과 외견상 요·금대의 특징을 가진 성들도 여러 가지 이유로 발해의 성으로 소개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발해 성곽의 일반적인 특성 도출과 나아가 발해 부(府), 주(州), 현(縣)의 치소성 비정 등에서 오류가 없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가 된 발해성벽들을 중심으로 발해성벽의 축조방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을 논의의 중심에 둔 것은 발해 때에 쌓은 것이 분명한 성벽들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발해성곽 연구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되고 그 내용이 보고된 발해성은 모두 18개소로 집계된다. 이 자료들 이외에도 답사를 통해 성벽 단면이 확인된 5개소의 발해성도 함께 참고하였다.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된 발해의 성들은 축조 시기 혹은 주체로 볼 때에 발해 이전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 증축되고 발해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시넬니꼬보 1산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만 사용된 것(상경성, 서고성, 팔련성, 흥농고성, 니꼴라예브까 1성, 니꼴라예브까 2성, 스따로레첸스꼬예 성, 끄라스끼노 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주로 금대 이전까지 사용된 것(꼭샤로브까 1성, 오끄라인까 성, 스몰노예 성), 발해 때에 초축되고 금대에도 사용된 것(소밀성, 마리야노브까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이즈베스뜨꼬바야 소쁘까 성), 그리고 발해시기 말갈계통 부족들이 축조한 것(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지기또브까 성과 끄라스노예 오제로 성)으로 구분된다.
    발해 때에 축조한 혹은 증축한, 다시 말해서 발해 때에 쌓은 성벽은 축조재료와 세부구성 양상에 따라 전체 토축성벽, 토축즙석성벽, 토축혼석성벽, 전체 석축성벽, 토심석축성벽, 하토석축성벽, 그리고 목책성벽으로 구분하였다. 그 외에도 발해의 성벽을 지반정지부, 기초부, 중심부, 측면보호벽으로 구분하여서도 검토해 보았다.
    요·금대의 성벽은 대부분이 전체 토축성벽이다. 판축다짐은 요·금대 성벽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색깔과 성분의 토층을 거의 매번 되풀이하여 시루떡모양으로 정연하게 쌓았다. 이에 반해 발해의 판축다짐성벽은 대부분 비슷한 혹은 약간 차이가 나는 색깔과 성분의 토층들을 일정 높이 반복적으로 쌓아 올렸다는 점, 토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점, 토층이 양단까지 계속 이어진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다른 토층들로 대체된다는 점 등이 차이를 보인다. 다만 금대 동하국 시기의 성벽 중에는 토축즙석성벽, 석축성벽, 토층이 중간에 다른 토층과 대체되는 판축다짐성벽도 예외적으로 확인되고는 있지만 전반적 특징이 발해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도 본고에서는 논의하지 않았지만 성의 평면적 특징과 성벽부속시설도 발해와 요·금대 성들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발해 성곽연구에 요·금대의 성들이 포함되곤 하였는데 앞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Among the Balhae(Bohai) fortresses in Northeast China and in Primorye-Priamurye, there ar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nd then repaired or re-built in the Liao-Jin period. In this regard, there were not a few cases when the fortresses, which have clear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Liao-Jin period, were represented as Balhae ones. Because of this, mistakes in systematization of the Balhae fortresses and in locating the centers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districts and counties of Balhae are inevitabl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were studying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of Balhae, on the basis of excavated Balhae fortress walls, because the author of the article considers that the basis for studying the Balhae fortresses is the identification of features of fortresses which were exactly built in Balhae period. For the present, there are known 18 Balhae fortresses which fortress walls excavations’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5 more Balhae fortresses were taken into account, where the profile of fortress walls was met during the field studies.
    The Balhae fortresses, whose profile of walls have been studie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construction: built before Balhae then re-built in Balhae and after Balhae no used more(Sinelnikovo 1),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only during Balhae(Upper capital, Xigucheng, Baliancheng, Xingnonggucheng, Nikolaevka 1, Nikolaevka 2, Starorechenskoe, Kraskino),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mainly before the Jin period(Koksharovka 1, Okrainka, Smolnoye),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up to the Jin period(Sumicheng, Marianovka, Novogordeevka, Izvestkovaya Sopka), and built by Malgal tribes during Balhae (fortresses of the northeast coast of Primorye Jeegitovka, Krasnoe Ozero).
    The fortress walls built or re-built during Balhae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and structure are divided under: entirely earth, earth with stone facing, earth with stones, entirely stone, stone with earth filling inside, stone with earth under, wooden pal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was studied, and we distinguished in it the prepared base, the fundamental part, the central-internal part and the side-protection walls.
    Fortress walls of the Liao-Jin period built mostly of earth. The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is typical for the Liao-Jin period, most of all built of the earth of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composition as the layered siruttok walls. But the Balhae walls in most cases are built of the earth of almost the similar or small different color and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layers is not even, and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but are replaced by other layers in the middle. However, during Dongxia state of Jin period we can see walls of earth with stone facing, stone walls and walls of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where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very rarely, but their general character differs from the Balhae ones. In addition, although in this paper we do not touch on this, planimetric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also differ from the Liao-Jin ones.
    Consequently, up to now the fortresses of Liao-Jing have been studied as Balhae ones, so in the future a cautious study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