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크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을 통해 본 영화 <나를 찾아줘>(2014)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A Complex Study on Storytelling of Film (2014) through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01
15P 미리보기
자크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을 통해 본 영화 &lt;나를 찾아줘&gt;(2014)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8권 / 1호 / 195 ~ 209페이지
    · 저자명 : 임대희

    초록

    본 복합 연구는 영화 스토리텔링 분석에서 시작되 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크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 을 통해 본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 <나를 찾아 줘>(2014) 스토리텔링 속 폭력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데리다의 해 체주의와 해체적 폭력론을 고찰하였다. 이후 본론에서 는 <나를 찾아줘> 스토리텔링 속 여주인공 에이미에 게 발생한 폭력을 분석하였는데, 첫째 원초적 문자, 말의 폭력으로서 엄마가 쓴 동화 속 소녀의 삶, 둘째 타자를 억압하는 폭력으로써 남편에게 맞춘 아내로서 의 삶, 셋째 통상적인 범죄의 폭력으로써 환상이 깨진 후 진짜 이야기로 구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한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초의 원초적 폭력인 문자, 말의 폭력은 형이 상학의 폭력이며, 이 근원적 폭력은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호칭부호를 넣어 오염된 기원적 폭력이다. 둘째, 최악의 폭력은 자신만의 비폭력 도덕원리를 내세워 타자의 주체적 인식을 배제하여, 나만의 진리로 중심 화하고 동일화시켜, 타자를 억압하고 속박하는 폭력이 다. 셋째, 통상적인 범죄의 폭력은 우발적인 사건으로 서 도래할 수도 아닐 수도 있으며, 두 번째 폭력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화 스토리텔 링을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 관점에서 분석하는 본 복합 논문이 영화의 새로운 스토리텔링 기법 창작과 다양한 양질의 영화콘텐츠 양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complex study began from the analysis in film storyte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iolence in storytelling <Gone Girl>(2014) directed by David Fincher through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sidered Derida's deconstruction and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After, In the main theory, analyzed the violence that occurred to Amy, the heroine in the storytelling of <Gone Girl>. First, life of a girl in a fairy tale written by her mother as the violence of archi-écriture and language. Second, life as a wife tailored to her husband as violence that suppresses others. Third, tried to separated analysis by a real story after the fantasy was broken due to the violence of ordinary crim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rimitive violence, the violence of archi-écriture and language is metaphysical violence and this fundamental violence is the original violence that is contaminated with a name tag that does not recognize differences.
    Second, The worst violence is the violence that suppresses and binds the other by centralizing and equalizing the truth of the other by exclud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other by putting his own nonviolent moral principle. Third, The violence of ordinary crime may or may not come as an accidental event and it is due to the second violence. I expect that this complex study that analyse that film storytelling based on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and deconstruction of Derrida’s viewpoin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new storytelling techniques and generating various quality film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