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어도와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 모색을 위해 (Historical Recognition for Ieodo and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2
28P 미리보기
이어도와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 모색을 위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32호 / 533 ~ 56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전

    초록

    2013년 11월 23일 중국은 동중국해 상공에 ‘방공식별구역(ADIZ,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을 선포하였다. 중국이 새로이 설정한 방공식별구역에는 중․일간 해양영유권 분쟁이 야기되는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그리고 한국의 이어도과학기지가 설치된 이어도가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의 방공식별중첩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이어도(Ieodo)’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을 토대로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도 및 그 주변수역은 경제적, 해양과학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어서 동아시아해역에서 한․중․일 3국의 이익이 교차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역사학적 관점에서 이어도과학기지가 설치된 이어도가 확인되기 시작한 것은 고종 5년(1868)의 일이다. 그 후 1900년 6월 5일 영국상선 Socotra호가 암초에 스치는 접촉사고가 발생하였다. 1901년에 영국해군이 암초를 확인하고 측량하여 ‘Socotra Rock’이라 해도에 표기하였다.
    이 Socotra Rock에 인공구조물인 인공섬 건립을 가장 먼저 계획했던 나라는 동아시아 3국에서도 일본이었다. 1938년 일본은 나가사키-五島-제주도-소코트라 암초[波浪ス]-화조산도-상해를 연결하는 920km의 해저케이블 수립을 계획했었으나 태평양전쟁으로 이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해방후 한국의 이승만 정부는 ‘평화선 선언’을 앞두고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파랑도 탐사를 시도했었으나 실패하였다. 박정희 정부는 1977년에 파랑도가 국제법상 영유권 설정대상은 아니지만, 경제수역 선포시에는 인공도서 등을 설치 이용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적극적으로 인식하였다.
    1984년 5월 KBS 탐사대에 의해 스코트라암초인 수중섬이 확인되었고, 이곳을 제주인들이 상상 속에 존재해 오던 환상의 섬, ‘이어도’로 명명하여 2001년 1월에 공식적으로 확정하였다. 2003년에 이어도과학기지가 완공되어 주변해역의 해황 및 기상상태의 관측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해양예보, 기상예보, 어장예보, 지구환경문제, 해상교통안전, 해난재해방지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동아시아 해역을 둘러싼 한․중․일의 갈등은 이미 예견되어 왔다. 아마 이러한 갈등은 앞으로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많다. 그것은 동아시아 3국의 이익이 밀접하게 교차되는 지역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특히, 21세기 세계의 중심이 서서히 동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동아시아 3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한 경쟁적 갈등관계가 더욱 노골화될 것이 분명하다. 이어도 및 동아시아 해역을 둘러싼 동아시아 3국의 역사전쟁은 서로 자국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인 셈이다.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검토는 결국 동아시아해역의 갈등적 요소를 어떻게 하면 한국이 주도적으로 풀어나갈 것이며, 이어도과학기지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해역을 우리가 항구적으로 선점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 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영어초록

    China declared ADIZ(Air Defense Identifcation Zone) over the sky of the East Sea of China. The new ADIZ covered Senkaku Islands(尖閣列島)/Diaoyudao(釣魚島) where there is sovereignty conflict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it also covered Ieodo where Korean ocean research station is.
    While Ieodo is covered by all three ADIZ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article tries to find out a solution to the conflict over the east asian sea by analyzing Ieodo based on Historical folklore perspective. Ieodo and surrounding sea is perceived as an economically, scientifically and militarily important region.
    In historical view, Ieodo was first reported in 1868(고종 5년). Then, British navy marked Ieodo as 'Socotra Rock' on marine chart in 1901 after british merchant ship named Socotra collided with the rock in 1900.
    Japan was the first nation to plan to build an aritificial structure on Socotra Rock. In 1938, Japan had planned establishing a 920km long submarine cable connecting Nagasaki - Goto - Jeju island - Socotra Rock - Huaniaoshan Island - Shanghai but was never carried on due to the Pacific War.
    After regaining independence in 1945, Rhee Syng-man(이승만) government tried to explore Ieodo but failed. Park Jung-hee(박정희) government also failed in 1973 but by 1977, they saw Ieodo as not a subject for sovereignty but a subject for economic zone.
    In May, 1984, KBS expedition reported a submerged rock which found out to be Socotra Rock and by January 2001, it was named Ieodo after utopian island of people of Jeju islands' imagination. In 2003, Ieodo ocena research center was built and the station collec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real-time basis which is required for ocean and weather forecast, fishery forecast, response to the global environmental challenges, safety of marine transportation, coastal disaster prevention and climate change pred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