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와 이중구속-아나키적 모색 (Tao and double bind - Anarchistic explor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12
26P 미리보기
도와 이중구속-아나키적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69호 / 275 ~ 300페이지
    · 저자명 : 신철하

    초록

    간명하게 말해 道는 경험할 수도, 언어로 표현할 수도 없는 無 그 자체라고 정의된다. 모순과 역설의 언술을 내재하고 있는 이 화두는 노자와 『도덕경』을 말하는 주요한 기율이 되고 있다. 도를 무위와 자연의 의미들과 병치시키거나 해석의 지평을 공유할 때, 그 핵심에 ‘生而不有’, 즉 과정으로서의 삶과 생명에 대한 자연의 정치적 입장을 공유할 수 있다. 생명이 어떤 과정이라면, 그것은 또한 정치적으로 아나키와 근친성을 띠고 있기도 하다.


    현단계 분단체제는 낮은 단계의 통일시대. 즉 과정으로서의 통일시대이며, 정확하게 통일의 이행기 속에 있다. 한국문학과 텍스트의 몇 전위는 이행기의 삶과 일상을 예리하게 포착함으로써 분단체제를 이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 있다. 그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키워드를 노자의 ‘도’는 예리하게 적시하고 있다. 이중구속적 시각에서 도는 언어의 높은 단계의 수사적 원리로 해석된다. 그 위계에서 자연의 정치는 병영국가주의로 공고화된 분단체제를 넘어 통일시대의 새로운 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 중요한 모멘텀을 제공한다. 소국과민으로 압축되는 아나키적 마을꼬뮨이 그것이다. 가령 스위스식 민주주의나, ‘판챠야트’로 상징되는 간디의 ‘마을공화국’은 70만개의 마을로 구성된, 영국으로부터의 해방이후, 자유인도의 미래를 위한 평화헌법의 근본을 이룬다. 그 공화국의 기원은 노자의 소국과민과 근사하게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 공화국이 한반도 통일이행기 이후의 국가구조와 시민의 삶을 담보하는 비전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Simply put, Tao is defined as nothingness無 itself, which cannot be experienced and is verbally inexpressible. The topic embracing description of conflict and paradox makes a major discipline referring to Loa-Tzu(老子) and his ‘Tao Te Ching.’ When Tao is juxtaposed with inactivity and meanings of nature or shared with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alive but having nothing(‘生而不有’),’ namely, political stance of nature with respect to living and life as a process could be shared. If a life is a certain process, it takes on an affinity to political anarchism as well.
    The separation system at the present stage is an age of unification of a lower stage, namely. an age of unification as a process. To be more precise, it is in the middle of the age of transition toward unification. Some in the vanguard of the texts of Korean literature are heading for a new paradigm passing down the separation system by keenly grasping life and routine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toward unification. Lao Tze’s ‘Tao’ sharply points to the keyword accounting for the paradigm. Tao from the perspective of double bondage is interpreted as a rhetorical principle of a high level of language. In its hierarchy, politics of nature provides an important momentum in the process of heading for a new country of the age of unification beyond the separation system solidified by military camp nationalism. That is the anarchistic village commune boiling down to a small country with a small population. To take an example, Swiss concept of democracy and Ghandi’s theory of the ‘village republic’ symbolized by ‘panchyat’ made up of 700,000 villages constitutes the foundation of the peaceful constitution for the future of free India after its independence from Britain. The origin of the republic could date marvelously back to Lao Tze’s a small country with a small population. And the republic could be a vision that guarantees the country’s structure and citizen’s life after the period of transition towar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