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쇼카 시대 불교의 확산과 영향 (The spread of Buddhism in the Aśoka Period and its Effe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아쇼카 시대 불교의 확산과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8호 / 129 ~ 152페이지
    · 저자명 : 최지연

    초록

    힌두교가 정의하기 어려운 종교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힌두교의 복합성이 고대 인도의 브라마니즘과 슈라마니즘, 그리고 지역의 토착 종교를 융합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융합의 시작을 아쇼카왕의 인도 통일과 불교의 확산에서 찾고자 하였다. 브라마니즘과 슈라마니즘이라는 고대 인도의 종교 전통은 지역적으로 북인도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이것이 아쇼카의 정복전쟁을 통해 중인도 이남으로 확대되었다. 아쇼카가 불교에 귀의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 이는 아쇼카 비문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그가 세운 인도 최초의 통일 국가에서 아쇼카의 불교에 대한 애정은 불교가 인도 전역의 종교가 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쇼카 왕은 불교의 성지를 순례하고 탑과 정사를 짓는 등의 불사를 하였고, 법대관을 통해 승단을 제도적으로 후원하였으며 비문에 불교의 보시와 불살생이라는 가치를 선으로 선포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불교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 결과 당시 불교는 인도에서 영향력 있는 종교를 성장함과 동시에 부패와 변질이 발생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라마니즘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희생제의 중심의 브라마니즘은 큰 규모의 공적인 제식보다는 소규모의 개인적인 제식 중심으로 축소되었고 내용면에서도 불교 등 여타 슈라마니즘에서 표방하는 지혜와 수행을 추가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영어초록

    Hinduism is difficult to define as a religion due to its complex characteristics and antiquity. This complexity of Hinduism resulted from a fusion of ancient Indian Brahmanism, Śramanism, and other local religions. The research initially started from a question of when and why this convergence had begun. In order to find one of the plausible answ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iod of Indian unification by Aśoka king when Buddhism obtained royal patronage. Especially, Brahmanism and Śramanism, the ancient Indian religious traditions, originated in North India and expanded all the India subcontinent through the Aśoka’s conquest. Aśoka’s conversion to Buddhism is well known through inscriptions built in his reign. Aśoka’s vigorous support to Buddhism had a major role in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out India. In particular, Aśoka built Buddhist Stupas and temples such as pilgrimages to Buddhist sanctuaries, and pagodas, systematically sponsored the Buddhist saṅgha through officials called dharmamahāmātra who were commissioned to propagate dharma, and advocated mainly two virtues of Buddhism, that is, generosity (dāna) and non-violence (ahiṃsā). As a result of this, Buddhism grew as the most influential religion but became corrupted in some parts. This circumstance presumably incited Brahmanism to perform a small individual ritual than a large public one.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ritual service became to assimilate meditative concepts originated from other religions, like Śramanism, Buddhism and so fo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