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짜라까상히따(Caraka-saṃhitā)』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riyas and Disease in the Caraka-saṃhitā)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10
35P 미리보기
『짜라까상히따(Caraka-saṃhitā)』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25권 / 2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이거룡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아유르베다(Āyurveda)의 3대 의서(醫書) 중의 하나로 꼽히는 『짜라까상히따』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생명, 건강, 질병, 진단, 치료에 관한 전인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과정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 원리는 ‘세계와 인간의 동일(loka-puruṣa-sāmya)’이다. 소우주로서의 인간과 대우주로서의 세계 사이에는 역동적인 연속이 있으며, 이 둘 사이의 조화는 개인의 건강에 핵심적이다. 한편 이 둘 사이의 조화와 연속을 무너뜨리는 핵심 요소는 1) 감각기능, 2) 시간적인 변화(kāla), 3) 지성(buddhi)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중에서 감각기능과 질병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짜라까상히따』에서는 감각기능이 물질성(bhautika)과 편재성(vibhūtva)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설명되는데, 이것은 감각기능이 개별의식(ahaṃkā)의 산물이므로 편재적이라는 상키야의 견해와, 감각기능을 5종 조대요소(mahābhūta)의 산물로 보는 니야야의 이론을 종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종합의 결과로 짜라까는 감각기능과 그 대상의 직접적인 접촉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짜라까상히따』에서 지각의 전 과정은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이해되는 특징을 보인다. 짜라까는 감각대상(indriya-artha), 감각기관(indriya-adhiṣṭhāna), 감각물질(indriya-dravya), 감각기능이 일직선상에 설 때 지각(indriya-buddhi)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데, 상키야와는 달리 그는 감각기능을 개별의식이 아니라 5종 조대요소의 산물로 이해함으로써 지각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연결했다. 즉 감각대상뿐만 아니라 감각기관과 감각기능까지도 모두 물질적이며, 심지어 감각기능을 통제하는 마음(manas)도 물질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상키야는 감각기능을 개별의식의 산물로 보기 때문에 감각기능은 상대적으로 의식적·비물질적이며, 따라서 지각은 비물질적인 감각기능과 물질적인 대상의 접촉으로 이해된다. 물론 니야야에서도 감각기능이 5종 조대요소의 산물로 간주되지만, 짜라까는 5종 감각기능의 구성에 베단따의 오분작설(五分作說)을 차용함으로써 5종 조대요소와 5종 감각기능 간의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5종 조대요소 전체가 5종 감각기능과 상호소통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또한 니야야와 마찬가지로 짜라까는 감각기능도달설(Prāpya-vāda)을 수용하지만, 니야야와는 달리 감각기능 자체의 편재성을 인정함으로써 대상과의 접촉을 보다 직접적인 것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짜라까상히따』에서 지각의 전 과정이 하나의 물질적인 흐름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감각기능은 지식을 얻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바깥세계의 물질적인 내용물을 마음과 영혼에 전달하는 기능(faculty)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감각기능이 바깥세계와 접촉하여 지각하는 것은 입으로 음식물을 먹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짜라까상히따』에서 감각기능과 대상 간의 비정상적인 접촉이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짜라까상히따』에서 마음은 일종의 특수한 감각기능인 동시에 또한 모든 감각기능들의 통제자로 간주된다. 따라서 감각기능들과 그 대상 간의 비정상적인 접촉의 배후에는 마음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감각기능의 오용에 기인하는 모든 질병은 결국 마음과 관련된다.

    영어초록

    Āyurveda adopts a comprehensive holistic approach to life, health, disease,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This approach is governed by the doctrine of loka-puruṣa-sāmya, i.e., man-environ sameness. There exists a dynamic ontological continuum between the man (microcosm) and the universe (macrocosm). Hence the harmony between the two is essential for individual health. The man interacts constantly with the universe through three principal factors, namely, 1) indriyārtha (object of sense), 2) kāla (time variation) and 3) buddhi (intellect), and therefore these three are the main causes of disease.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riyas and disease.
    The description of indriyas in the Caraka-saṃhitā as having both physical nature (bhautika) and pervasive nature (vibhūtva) shows that Caraka’s theory of perception is a synthesis of the concepts of the Sāṃkhyas who regard that the indriyas are the evolutes of ahaṃkāra (I-consciousness) and pervasive, and of the Nyāya-Vaiśeṣikas who hold that the indriyas consist of pañca-mahābhūtas. As a result of this synthesis, Caraka was able to explain the direct contact between indriyas and their objects. The whole process of perception shown in the Caraka-saṃhitā is characterized by a material flow. Caraka explained that perception occurs when indriya-artha (sensory object), indriya-adhiṣṭhāna (sensory organs), indriya-dravya (specific receptor matter), and indriya (sensory faculty) itself are in a straight line. And unlike the Sāṃkhyas, by understanding the indriyas as products of pañca-mahābhūtas rather than those of ahaṃkāra, Caraka made the entire process of perception a material flow. In other words, not only the sensory object, but also the sensory organs and sensory functions are all material, and even the mind that controls the sensory function is also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Sāṃkhyas regard indriyas as products of ahaṃkāra, so indriyas are relatively non-material, and the process of perception is understood as a contact between non-material indriyas and material objects. Of course, in the Nyāya-Vaiśeṣika, indriyas are considered as products of pañca-mahābhūtas, but Caraka made the interconnection between indriyas and their objects more dynamic by borrowing the Vedāntic pañcīkaraņavāda to explain the composition of the indriyas. Caraka also accepted the Prāpyakāritva (characteristic of indriyas to apprehend the object by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m) of indriyas like the Nyāya-Vaiśeṣikas, but he understood that the contact with sensory objects was more direct by acknowledging the pervasive nature of indriyas themselves, unlike the Nyāya-Vaiśeṣikas.
    As such, since the entire process of perception in the Caraka-saṃhitā is understood as a material flow, indriyas are not merely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but rather a function of conveying material contents from the outside world to the mind and soul. In this respect, the contact of indriyas with the outside world is not much different from eating food with mouth. This is the reason why abnormal contacts of indriyas with their objects outside are considered one of the main causes of disease in the Caraka-saṃhitā. In the Caraka-saṃhitā, mind (manas) is regarded as a kind of special indriya and also as a controller of the five sensory indriyas. Therefore, it can always be said that the mind is behind the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sensory indriyas and their objects, and in this sense, any disease resulting from the misuse of the sensory indriyas is ultimately associated with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