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유아 발달 및 미술 요소에 기초한 영유아 미술작품 분석 (The Study o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Arts Based on Development and Aesthetic Element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10
16P 미리보기
영유아 발달 및 미술 요소에 기초한 영유아 미술작품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7권 / 409 ~ 424페이지
    · 저자명 : 조성욱, 권세경

    초록

    본 연구는 자연스런 상황에서 활동한 만 1~5세 영유아의 미술활동 결과인 미술작품을 Lowenfeld의 영유아 미술발달단계 및 김경희(2011)연구에서 지세한 미술요소 8가지를 중심으로 질적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앞으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속초, 인제지역 어린이집 만 1세~5세 영유아 200명의 작품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 표현의 중복성을 고려하여 151개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151개의 작품을 영유아의 미술발달단계와 미술요소를 기초로 질적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영유아의 미술발달단계에 기초한 분석결과 Lowenfeld가 제시한 미술발달단계를 지지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각 발달단계별 제시된 연령과는 조금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의 미술발달의 개인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미술요소에 기초한 영유아 미술작품 분석 결과 1세는 주로 선과 점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며 2세는 세로선, 가로선, 지그재그선, 원형 등 의 다양한 선의 형태가 나타났다. 1,2세는 형태, 면의 활용, 구조, 공간 등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3,4세는 면에 대한 인식은 아직 혼란스런 상태에 있었으며 5세가 되어야 형태, 면, 구도, 공간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색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색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영유아 미술교육은 영유아의 미술발달을 고려하여 적합한 활동이 제시되어야 하며 미술요소를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artwork created by children within the age range of year one to five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Lowenfield's concept of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and eight different artistic elements identified in Kim, Kyung-Hee's study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art programs targeted towards children. For this study, we collected two hundred works created by children within the age range of one to five from day care centers in the Sokcho and Inje area. 151 works were then selected to serve as a sample to minimize the extent of expressional overlap in between work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151 works based on the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and presence of artistic elements present within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the children in the sample based on the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supports the concept of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put forward by Lowenfiedle. However, a slight disparity has been observed between the resulted obtained and the age associated with each level of development. This appears to be due to varying level of personal development achieved for each of the children.
    Second, the analysis of the children's artworks based on the artistic elements showed that those who are a year old used lines and dots as their primary method of expression whilst two-year olds use a wide variety of lines including horizontal, vertical, zig-zag lines as well as circles. Those withing the age range of one and two showed inability to recognize forms, use of planes, structure and space while those in the age range of three and four still had imperfect recognition of planes. Only when the children reached the age of five did the recognition of forms, planes, perspectives, and spaces become more prevalent. In terms of colors used, the variety of color usage was observed to be proportional to the age of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note that art programs aimed towards children should involve activities that are recognized to bo appropriate for children's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and should also revolve around activities that allow for empirical recognition of the artistic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