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신채호의 ‘아(我)’ 개념의 재검토 (Re-Examining the Historical Concept of “I” in Shin Chaeho’s Writings in the Daehan Empire Period)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12
56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신채호의 ‘아(我)’ 개념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14호 / 5 ~ 60페이지
    · 저자명 : 노관범

    초록

    ‘아(我)’는 신채호의 역사인식에서 매우 중요한 키워드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신채호의 아에 대한 연구는 대개 민족주의 또는 탈민족주의라는 이념적접근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온전한 이해가 확보되지는 못했다. 이 글은개념사적 연구 방법으로 신채호의 아에 관한 실제적 이해를 추구한 것이다.
    이 글은 구체적으로 세 가지 전략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선상고사』 「총론」의 역사 테제를 구성하는 ‘아’가 실은 대한제국기 신채호가 작성한 『대한매일신보』 논설의 문제적 담론으로서 출현하였음에 주목하여 이담론 질서 위에서 아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아의 형성 배경으로 ‘사회’를 발견하였다. 둘째, 신채호가 이와 동시에 지은 일련의 역사물, 곧 『대동사천재제일대위인 을지문덕(大東四千載第一大偉人乙支文德)』, 「수군 제일위인 이순신(水軍第一偉人李舜臣)」, 「독사신론(讀史新論)」, 「동국거걸 최도통(東國巨傑崔都統)」의 역사 서사에서 ‘아’의 본질, ‘비아’의 본질, 아와 비아의 투쟁 등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아’의 본질로 ‘독립’을 ‘비아’의 본질로 ‘비열’을 발견하였다. 셋째,신채호의 역사물에서 ‘아’가 언어적으로 발화되는 양상을 관찰하여 ‘아’의 주요 복합어들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아’ 복합어가 주로 나라·겨레·역사·사람·전투·인명계열로 분류됨을 발견하였고, 모든 계열에 공통적으로 참여하는 ‘동’이라는 문제적 개념의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I” is central to Shin Chaeho’s view of history:his most well-knownaphorism is that history records the struggle between “I” and “non-I”. Butfew studies have reflected on what the historical concept of “I” actuallymeans in his writings. His work has been generally reviewed withideological approaches to nationalism or post-nationalism. Thus, this paperre-examines the concept of “I” in his historical writings, using a referenceframework based on conceptual history.
    For this purpose, three strategies are employed. First, the concept of “I” inthe introduction to his famous work Joseonsanggosa (The Ancient Historyof Korea) is placed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f “I” and “society” which occur in the newspaper Daehanmaeilshinbo (Korea Daily News).
    Second, “I” and “non-I”, and the struggle between them, as found in theabove introduction, is also identified in his earlier writings, for example, hisbiographies of Euljimundeok, Choi Yeong and Yi Sunshin, and his study onthe ancient history of Korea, Doksashinron. And third, the concept of “I” isalso examined in the semantic network of terms relating to “I” in these fourhistorical works.
    Through this analysis, three conclusions were reached. 1) The formationof Shin Chaeho’s problematic concept of “I” was closely connected withthe changing concepts of “society”, as represented in Daehanmaeilshinbo .
    2) The opposing concepts of “independence” and “meanness” prompted theconceptual realization of “I” and “non-I” in his historical writings. 3) Most ofhis compound terms with “I” comprised six internal serials, involving“country”, “nation”, “history”, “man”, “battle”, and “name or title”, which heused to promote his historical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