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阿尼’의 의미와 위상 (The Meaning and Stature of ‘Ani(阿尼)' in Silla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11
22P 미리보기
신라 ‘阿尼’의 의미와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3호 / 7 ~ 28페이지
    · 저자명 : 신선혜

    초록

    都維那娘 阿尼에 대한 그간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阿尼를 비구니와 동일한 개념으로 보면서 司祭的 성격을 가진 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낳았다. 첫째는 阿尼를 比丘尼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정할 경우 이미 都維那娘 설치 이전 시기에 比丘, 沙彌 등 출가자의 구분이 있었음에도 比丘尼라는 표현을 쓰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둘째는 阿尼를 신라 여성의 위상과 관련하여 司祭的 성격을 보이는 ar 계통 명칭을 가진 인물과 동일한 성격으로 본다면 통일신라에서도 보이는 阿尼를 칭하는 인물을 여전히 司祭的 성격의 인물로 파악할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먼저 『삼국사기』 職官志의 ‘都維那娘 阿尼’의 기록을 검토해 보았다. 이와 함께 신라의 僧官制는 중국 불교계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음에도 중국 승관에 보이는 尼僧正 및 尼都維那와 같은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娘’으로 표현된 여성 승관직을 설치한 점에 주목하였다. 신라 사회에 보이는 娘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대체로 왕실 및 귀족 여성들을 가리키며 동시에 결혼한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파악되었다. 즉 都維那娘은 중국 승관과는 달리 佛事나 法會 등과 같은 興法 활동의 후원자이자 대표자였고, 여기에 왕실 여성들이 임명되면서 娘으로서의 의미가 부여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阿尼 역시 「戊戌塢作碑」의 ‘都維那 慧藏 阿尼’의 사례와 『삼국사기』 직관지의 기재방식을 통해 ‘-法師’와 같이 일정한 職任을 가진 인물을 지칭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직임이란 法師가 불법에 밝고 중생을 수행으로 이끌며, 포교의 전문가였던 것과 같이 이에 대비된 阿尼 역시 그러한 존재를 표현한 명칭으로, 법사의 자격이 출, 재가자를 막론하였듯 阿尼도 비구니와는 등치될 수 없는 특별한 직임을 가진 여성출가자 혹은 재가신도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two similarities of the pieces of epitaph, which is founded in ‘Jumisaji(舟尾寺址)' at Gongju, and the inscription, which is about the construction of rock cliff of Buddha in Gyeongju's Seondo mountain, is that they both contain information about ‘Ani(阿尼)'. While there were some interest in the true nature of ‘Ani' and ‘Doyoonarang(都維那娘)' during the early research period of ‘Seunggwanjae(僧官制)', there hasn't been a professional research on ‘Ani' not only because of the minimal amount of the word's appearance, but also because the word ‘Ani' has been fixed as a noun referring to women who are getting married.
    This essay has begun with two doubts. The first is if ‘Ani' and ‘bhikehuni(比丘尼)' is set as identical concept, then why isn't the term ‘bhikehuni' used even though there were a classification of married women such as ‘bhikkhu(比丘)' and ‘Sami(沙彌)'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oyoonarang'. The second is if we can view the ‘priest-like' characters that have names with ‘ar' as identical to the women's stature of ‘Ani', then can we view the characters called as ‘Ani'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s having identical ‘priest-like' characteristics.
    For the discussion, we have reviewed the record of ‘Doyoonarang Ani' in the ‘Jikguanji(職官志)' of ‘Samguk Sagi(三國史記)'. The interesting point with Silla is that although it received significant influence from China's Buddhism, it did not use Chinese priesthood terms like ‘Niseungjung(尼僧正)' or ‘Nidoyoona(尼都維那)' as used in China, but rather used the term ‘rang(娘)' for female priesthood. Furthermore after reviewing the term 'rang' used in Silla socie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rm was used for women in the royal family and for women who are married. Therefore, unlike China's priesthood, ‘Doyoonarang'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pread of Buddhism, activities such as Buddhist events(佛事), and as women from the royal family was appointed in this position, the position was given the meaning of ‘rang'. It could also be seen that the term ‘Ani' is referring to characters that have official duties like ‘Beopsa(法師)' from the descriptions in ‘Doyoona Hyejang Ani(都維那 慧藏 阿尼)' from ‘Musul Ohjakbi(戊戌塢作碑)' and the way its termed in ‘Samguk Sagi'.
    Just like how ‘Beopsa' was insightful in Buddhism and led people to enlightenment as the expert of evangelism, the official duties of ‘Ani' were termed for characters of similar position. Just as ‘Beopsa' had both married or remarried person, ‘Ani' has been found that it refers to married female who had a special position that is not equal to that of ‘bhikehun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