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츠파 문화정신과 디자인 씽킹 연구를 통한 기업 융합형 창의성 모형 제언 (A Suggestion of Corporate Convergence Creativity Model through Study on Chutzpah Cultural Spirit and Design Think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6
12P 미리보기
후츠파 문화정신과 디자인 씽킹 연구를 통한 기업 융합형 창의성 모형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3권 / 2호 / 333 ~ 344페이지
    · 저자명 : 전효은

    초록

    창조 경영, 창조 경제 시대가 대두되면서 기업 경영 혁신의 패러다임이 기술 중심에서 창의성(Creativity)으로 이동하면서 창조 인재 발굴 및 창의적 혁신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의 기업 내의 다양한 혁신 창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창의성을 위한 제도 및 시스템은 거의 미미하다고 할 수 있으며 부분적, 일시적인 세미나 및 단발적 TFT조직에 그쳐 창의성을 위한 시스템의 부재와 지속적인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창의성을 위한 제도와 시스템 구축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론과 이를 유연하게 받아들일 문화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사고방법인 디자인 씽킹의 접근 방법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유대인 후츠파 문화정신에 대해 연구하여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융합형 창의성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우선 관련 서적과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적고찰을 통해 ‘효율성 우선, 질문과 토론, 융합, 전략적 도전, 확고한 목표의식, 근성, 실패를 통한 교훈’이라는 창의성의 문화적 요소와 ‘융합적인 팀 구성, 공감을 통한 문제접근, 질문과 토론을 통한 브레인스토밍과정, 빠른 시각화를 통한 컨셉도출, 끊임없는 시행착오를 통한 제품화 과정’의 창의성의 방법론적 요소를 도출해낼 수 있었으며 이 같이 도출된 요소를바탕으로 창의성을 중심에 두어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문화적, 방법론적 요소에서 동시에 찾아볼 수 있는 핵심 성공 요소인 ‘융합적 팀 구성(Convergence), 끊임없는 질문과 토론(Discuss), 작고 잦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Failure)’이라는 기업의 융합형 창의성 핵심 요소들을 도출하여 CDF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기업이 원하는 창의성을 창출하기 위한 디자인 경영 방법의일환으로 디자인 씽킹과 유대인의 창의적 문화 정신 도입을통해 한국 기업에 최적화된 융합형 창의성 CDF모형을 제언함으로서 추후 창의성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s the era of creative management and creative economy has emerged, the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is moving its focus from technology to creativity, and accordingly, there are a variety of creative innovation activities carried out within companies, such as finding creative talents and expanding educational programs on creative innovation.
    However, the institutions and systems for creativity in domestic companies are considered almost negligible, which, if any, are limited to partial and temporary seminars and sporadic organization of TFT. The challenges in the reality are the absence of system for creativity and lack of continuous support.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a specific methodology to build institutions and systems for corporate creativity and to identify a culture that accepts this methodology flexibly, I conducted a research on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a creative thinking way of designers, and the spirit of Jewish chutzpah culture emphasizing creativity, thereby aiming to extract the common factors and to present a convergence model of creativi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rough theoretical study on books and literature research, I could derive cultural factors of creativity, which included ‘Priority on Efficiency, Questions and Discussion, Convergence, Strategic Challenges, Resolute Sense of Purpose, Perseverance, Lessons from Failures’ and methodological factors of creativity, which included ‘Configuration of Convergent Team, Approaching Problems through Empathy, Brainstorming Process through Questions and Discussion, Deriving Concepts through Fast Visualization, Commercialization Process through Constant Trial and Error’. Based on such factors, I analyzed the success cases home and abroad which focused on creativity, and through such analysis, I derived the key elements of convergent creativity of corporations, which were ‘Organization of Convergent Team(Convergence), Endless Questions and Discussion(Discuss), Challenges without Fearing of Small and Frequent Failures(Failure)’, the key success factors that can be found in the cultural elements and at the same in the methodological elements, and thereby I proposed a CDF model.
    This paper will show a design management method that fits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to create creativity that companies are currently want, and imprint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esign thinking and Jewish creative cultural elements, and propose a convergent CDF model of creativity that is optimized for Korean companies, thereby laying a foundation of the future research on crea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