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씽킹과 배우의 연기창조 연계 연구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Design Thinking and Ac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11
23P 미리보기
디자인씽킹과 배우의 연기창조 연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36권 / 4호 / 45 ~ 67페이지
    · 저자명 : 박진태

    초록

    이 연구는 연기창조(역할연기 구축)를 위한 색다른 접근법으로서의 연기시스템 내지는 연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하는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노련함과 천부적 소질을 지닌 배우와는 달리 상당수가 역할창조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자신의 만들어낸 역할창조가 미덥지 못한 현상에서 오는 자신 자신과의 괴리감과 대중과의 만남에 대한 공포감이다. 배우에게 있어서 연기창조 행위는 직관력에 상당부분 비중을 더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상황에 따라 직관세계는 추상세계와 같아 배우 자신에게 믿음과 신뢰의 충실감을 제공하는데 한계에 직면할 때가 있다. 인지과학적 연기창조원리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의 개념을 설정하고 연계시켜보고자 하였다. 연기예술분야에서는 생소한 개념이지만 이미 디자인씽킹은 애초에 디자인계열에서 개념이 도출된 이후, 현재에 이르러서는 다종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고와 문제해결 방식의 일환으로 도입하고 활용되고 있는 트렌드 실용 학문이다. 특히 디자인씽킹 세계에서 제시되는 5단계 프로세스 - 1. 공감하기(Empathize), 2. 문제정의(Define), 3. 아이디어도출(Ideate), 4. 프로토타입(Prototype), 5. 테스트(Test) - 는 배우가 역할연기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연기창조의 시스템 원리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즉, 1. 공감하기는 인물(캐릭터) 기본 분석과 이해 단계, 2. 문제정의는 인물(캐릭터) 목표, 관점 등의 세계관 형상화 단계, 3. 아이디어 도출은 인물(캐릭터)의 가시적 창조기반 형성 단계, 4. 프로토타입은 인물(캐릭터)의 가시화(모델구축) 단계, 5. 테스트는 인물(캐릭터)의 적용 및 실제화 단계로 연계 정의 될 수 있다고 본다. 결국 이러한 방식으로 배우의 역할구축 및 창조에 관한 접근법은 역할창조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도움 역할을 분명히 해준다. ‘디자인씽킹’은 사고의 설계과정이다. 배우가 역할구축과 연기행위라는 난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편으로서 상상 속 인물 세계를 현실화 시켜내는 실용적인 접근 시스템이라고 본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연구 가치와 효용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는 전제에서 실증적 실험으로의 타당성 제시는 차제의 연구대상으로 남겨두면서 궁극으로 연기교육 및 역할창조 가이드로서의 연기제도 또는 연기법 마련에 목표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alternative approach to acting systems or acting methods for role creation. Unlike seasoned actors with innate talent, many actors struggle with the practical challenges of role creation. A significant issue arises from the dissonance between the actor and the character they have created, leading to a lack of confidence in their portrayal and a fear of engaging with the audience. For actors, the process of creating a role often heavily relies on intuition. However, intuition can be abstract, and in some cases, it fails to provide the actor with a sense of confidence and trust in their performance. In such situations, objective information and a structured system are necessary to support the actor, which is why cognitive science-based approaches, such as system acting, have emerged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This paper explores a new approach to the principles of cognitive science-based role creation by introducing and connecting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Although unfamiliar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Design Thinking originated in the design field and has since been adopted in various disciplines as a tool for innov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The five-step process proposed in Design Thinking—1. Empathize, 2. Define, 3. Ideate, 4. Prototype, 5. Test—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role creation in acting. Specifically, 1. Empathize corresponds to the basic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2. Define relates to shaping the character’s goals, perspective, and world view; 3. Ideate involves forming the visible foundation of the character’s creation; 4. Prototype refers to the visualization (or modeling) of the character; and 5. Test involves applying and actualizing the character. This approach helps alleviate the difficulties actors face in role creation. Design Thinking is a structured process of ideation, and as such, it provides a practical framework for actors to bring imaginative characters to life and resolve the challenges of role creation and performance. This paper, therefore, argues for the value and potential utility of this approach, leaving further empirical validation for future research. Ultimately, the aim is to develop a formalized acting system or method that can serve as a guide for acting education and role cre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