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나타난 라이브 공연 문화의 하이브리드적 속성 연구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ybrid Properties of Live Performance Culture in Hongdae Indie Music Scene After COVID-19 -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2.03
32P 미리보기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나타난 라이브 공연 문화의 하이브리드적 속성 연구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4권 / 3호 / 611 ~ 642페이지
    · 저자명 : 김효민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라이브 공연 방식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홍대 인디음악 생태계와 연관된 의미연결망 구조가 어떠한 속성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는지를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맥락을 파악하여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나타나고 있는 라이브 공연 문화의 하이브리드적 속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홍대’와 ‘인디’를 수집 키워드로 설정하였으며, 네이버(Naver), 다음(Daum), 구글(Google) 채널을 대상으로 국내 코로나19가 처음으로 발생했던 시점인 2020년 1월 20일부터 2022년 1월 20일까지의 총 2년간의 데이터를 크롤링하였다. 다음으로 '텍스톰(TEXTOM)'을 활용해 데이터 정제 및 TF-IDF 기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UCINET6 프로그램’과 ‘NetDraw’를 통해 ‘홍대’, ‘인디’ 관련 주요 중심성 및 클러스터를 분석하여 네트워크의구조적인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TF-IDF 기반 빈도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진 핵심어는 ‘공연’으로 나타났으며,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로는 ‘홍대’가 가장 높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도 ‘온라인’이 빈도분석 결과보다 더 높은 연결 중심성의 값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홍대 인디음악의 ‘온라인’화가 코로나19 이후, 중앙집중적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근접 중심성 분석 결과로는 코로나19 이후, 홍대 지역의 경계를 벗어나 라이브 공연이나 예술 활동을 이어나가는 탈영역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공공기관, 방송국 및 기업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공간 기반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라이브 공연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로는, 홍대 인디음악 생태계 주체들은 COVID-19 발생 이후, 실제 공연 공간과 디지털 기술이 매개된 가상 공간 영역을 자유자재로 가로지르며 하이브리드된 새로운 라이브 공연 방식들을 시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있었다.
    COVID-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생태계 구성원들의 활동은 홍대 주변의 소규모 공연장 내부에 다양한 장비(equipment) 및 디지털 기술(DT)을 적용함으로써 공연 공간의 가변성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공공기관 방송국기업 등을 매개한 플랫폼 공간과 실제 공연 공간 영역을 유영하며 라이브 공연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 본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지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코로나19라는 재난이 가져온 홍대 인디음악 생태계의 하이브리드된 라이브 공연 행태를 파악하고, 팬데믹 시대에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법적 규제 및 새로운 문화정책 의제를 발굴하여 홍대 지역의 라이브 공연 문화가 지속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what attribute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related to the Hongdae indie music scene forms and clusters at a time when the paradigm of live performance is shifting around the world after COVID-19. In addition, by grasping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se networks, we tried to analyze the hybrid properties of the live performance culture appearing in the Hongdae indie music scene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Hongdae’ and ‘Indie’ were set as collection keywords, and data for a total of two years from January 20, 2020, when COVID-19 first occurred in Korea, were crawled into Naver, Daum, and Google channels. Next, data purification and TF-IDF-based frequency analysis using ‘TEXTOM’ were performed. The main centrality and clusters related to ‘Hongdae’ and ‘Indie’ were analyzed through ‘UCINET6 Program’ and ‘NetDraw’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 network.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F-IDF-based frequency analysis, ‘performance’ was the most frequent keyword, and ‘Hongdae’ was the highest connection value as a result of degree centrality analysis. Above all, ‘online’ shows a higher value of degree centrality than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indicating that ‘online’ of Hongdae indie music has been formed since COVID-19. As a result of closeness centrality analysis, there has been a phenomenon of deterritorialization in which live performances and artistic activities continue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Hongdae area after COVID-19, and live performances using digital space-based platforms run by public institutions, broadcasting stations, and companies.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subjects of the Hongdae indie music ecosystem have been freely trying new hybrid live performance methods by crossing the real and virtual space areas mediated by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members of the Hongdae indie music scene have applied various equipment and digital technology(DT) inside small performance halls around Hongdae to create variability in performance spaces and have been swimming in platform spaces and actual performance spaces. By referr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hybrid live performance behavior of the Hongdae indie music scene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disaster and to discover legal regulations and new cultural policy agendas required in the pandemic era to maintain sustain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