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조선의 청조인식 -『노가재연행일기』를 중심으로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s Recognition on Qing Dynasty – mainly with 『NoGaJaeYeonHaengIlg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11
26P 미리보기
18세기 조선의 청조인식 -『노가재연행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2호 / 217 ~ 242페이지
    · 저자명 : 이호윤

    초록

    17세기 명청 왕조 교체는 ‘중화’인 명조(明朝)가 ‘이적(夷狄)’인 청조(淸朝)에 의해 멸망하여 천하에서 중화가 소멸한 사건이었으며 청조의 무력에 굴복한 조선은 청조를 중심으로 하는 조공책봉질서에 편입되지만 관념적으로는 ‘청=이적(夷狄)’, ‘조선=중화’론이 태동하게 된다. 그러나 명조 멸망 이후 청조가 오히려 전성기를 구가하자 조선의 유자(儒者)들은 ‘이적’의 전성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해야만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에서는 두 가지 사상이 등장하는데 하나는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이며 또 다른 사상적 흐름은 선진적인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론(北學論)’이다. 그런데 18세기 초 청조를 직접 방문하여 기행문 『노가재연행일기』를 남긴 김창업의 청조에 대한 인식은 ‘조선중화주의’와 청조의 선진 문물을 긍정하는 ‘북학론’이 교차하며 공존하고 있었다. 병자호란 당시 척화론을 주창하여 청조에서 오랜 기간 포로 생활을 한 김상헌의 직계인 김창업은 조선의 ‘예악문물(禮樂文物)’의 우월성을 마음껏 자랑하면서도 ‘대청복수론(對淸復讐論)’ 대신 청조의 실용적인 문물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북학론은 갑자기 등장하는 사상이 아니라 대청사행으로 청조와의 교류 및 선진 문물에 대한 체험과 인식이 축적되면서 점진적으로 나타났던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In the 17th century, the substitution of the Qing Dynasty for the Ming Dynasty was the incidentin which the Ming Dynasty that was ‘the Mainland China’s Splendid Civilization’ was destroyed by the Qing Dynasty that was ‘the barbarian intruder’and the Mainland China’s Splendid Civilization became extinct in the world of which the center was thought to be the mainland China by intellectuals in China and some Asian countries, and Joseon that surrendered to the armed force of the Qing Dynasty was included in the order of tribute to an dinstallation by the Qing Dynasty, however ideologically the theory of ‘Qing= barbarian intruder’ and ‘Joseon = the Mainland China’s Splendid Civilization’ began.
    But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on the contrary the Qing Dynasty showed heyday without hesitatio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had to newly interpret the zenith of the prosperity of ‘the barbarian intruder’.
    In that situation, in Joseon two ideologies appeared, one ideological flow was the ‘Joseon’s Splendid Civilization Principle’ and another was the ‘Learning from the North’ that Joseon needed to learn the Qing’s advanced products of civilization.
    However, Kim Changeop visited the Qing Dynasty in person in the earli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and wrote the traveler's journal 『NoGaJaeYeonHaengIlgi』, and in his awareness of the Qing Dynasty, ‘Joseon’s Splendid Civilization Principle’ coexisted with ‘Learning from the North’ that acknowledged the Qing Dynasty’s advanced products of civilization, while the two ideologies crossed each other.
    Kim Changeop, a direct descendant of Kim Sangheon who advocated the theory of the rejection of peace at the time of the Manchu war of 1636 to have spent a long time in captivity in the Qing Dynasty, boasted of the superiority of Joseon’s ‘Manners,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to his heart's content while he had affirmative awareness of the Qing Dynasty’s practical products of civilization instead of ‘the Opinion to take Revenge on the Qing’.
    Therefore, the ‘Learning from the North’ is thought not to be the ideology that appeared suddenly but is thought to have appeared gradually as the interchange with the Qing Dynasty by visit of envoy to Qing and the experience in and the awareness of advanced products of civilization accumu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