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조리서 『음식졀조(飮食節造) 』 저술의 배경 문화 탐색 -18~19세기 안동지역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n the Background Culture of the Korean Old Cook Book, [Eumsikjyeoljo] -Focusing on Andong Goseong Lee clan’s Tapdong fac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2.10
47P 미리보기
고조리서 『음식졀조(飮食節造) 』 저술의 배경 문화 탐색 -18~19세기 안동지역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6호 / 183 ~ 229페이지
    · 저자명 : 배영동

    초록

    안동지역 고성이씨 탑동파 문중에서 발견된 수진본(袖珍本) 고조리서 『음식졀조(飮食節造)』의 작성 연월일은 1865년 윤5월 25일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 조리서는 그때 필사된 것이며, 그 바탕이 되는 음식문화는 1865년보다 시기가 더 소급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근거는 『음식졀조』에 고추나 고춧가루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 김치 담그는 법이 고추나 고춧가루를 쓰지 않던 시기의 전형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고성이씨 탑동파 인물인 간서(澗西) 이정룡(李庭龍, 1798~1871) 행장을 보면, 좋은 내용의 서책을 발췌 요약하여 소책자[小帖]를 만들어 가문의 보물로 전한다고 하니, 수진본 『음식졀조』는 이정룡이 필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음식조리법이 가문의 전승문화라는 전제에서 보면, 주목되는 현상은 그의 할머니 전주류씨(1749~1816)의 음식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조예다. 전주류씨는 영조 때 대사간을 지낸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3~1761)의 손녀이다. 「전주류씨 행록(行錄)」에는 그녀가 음식을 통하여 예(禮)를 실천하며 살았다는 내용이 소상하고 풍성하게 기록되어 있다. 즉, 음식 먹는 주체, 음식 조리 주체, 음식의 맛, 음식 조리법, 조리기구와 식기, 음식 차림 평가, 음식 조리의 자세, 봉제사 자세, 접빈객 자세 등에 대한 전주류씨의 예의 실천과 관련된 정보가 특별히 풍부하다. 가문의 이런 음식문화가 바탕이 되어 이정룡이 유교문화적 차원에서 “음식을 절도 있게 만든다”는 의미로 『음식졀조』를 저술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음식졀조』의 조리법은, 안동김씨 유와(牖窩) 김이익(金履翼, 1743~1830) 종가의 19세기 후반의 조리서로 추정되는 『쥬식방문』의 조리법과 영향 관계가 적지 않다. 두 조리서 사이에 조리법 서술 내용이 같거나 비슷한 것이 여러 항목이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음식졀조』는 조선전기부터 조선후기까지 전승되던 음식문화, 통용되던 조리지식의 영향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t is clear that the date of writing the pocket book-type old cook book, [Eumsikjyeoljo], found from Andong Goseong Lee clan’s Tapdong faction was May 25, 1865. However, this recipe book was then transcribed, but the underlying recipes may have existed earlier than 1865. The representative ground is that red pepper or red pepper powder is not found in [Eumsikjyeoljo], and the kimchi making method written in it was typical in the period when red pepper or red pepper powder was not used.
    According to the life record of Ganseo Lee Jeong-ryong (1798-1871), a figure from Goseong Lee clan’s Tapdong faction, he said he had made a small booklet summarizing good books and would hand it down as a family treasure;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Lee Jeong-ryong transcribed it. However, as food recipes are family-transmitted culture, what is notable is that his grandmother (1749-1816) from Jeonju Ryu family was extraordinarily interested in and knowledgeable about food. His grandmother (Jeonju Ryu) is the granddaughter of Samsan Ryu Jeong-won (1703-1761) who served as Daesaga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life record of Jeonju Ryu Family」 describes her life precisely and richly saying that she lived by practicing manners through food. In brief, it contains a particularly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bout her practice of matters, for instance, food-eating subjects, food-cooking subjects, food taste, food recipes, cooking equipment and utensils, evaluation on food preparation, food-cooking attitudes, attitudes as a tailor, or hosting attitudes. Based on the family’s food culture like that, it is believed that Lee Jeong-ryong wrote [Eumsikjyeoljo] to show “food is made with moderation” in the background of Confucian culture.
    In addition, the recipes found in [Eumsikjyeoljo]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recipes in [Jyusikbangmun] which is believed to be a recipe book of the late 19th century from the head family of Andong Kim Yuwa Kim I-ik (1743-1830). It is because some recipes are described identically or similarly in the two recipe books. Also, it is believed that [Eumsikjyeoljo] was somewhat influenced by cooking knowledge and food culture handed down from early to late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