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폐로 인한 불안과 환상의 의미양상 연구 - 이청준의 「조만득 씨」와 윤종찬의 <나는 행복합니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eaning of Illusion in Relation toAnxiety of Money ―Focusing on a Novels by Lee Cheong Joon “Mr. Jo Man Deuk” and a Film by Yoon Jung Chan “I am Happ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01
24P 미리보기
화폐로 인한 불안과 환상의 의미양상 연구 - 이청준의 「조만득 씨」와 윤종찬의 &lt;나는 행복합니다&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9호 / 403 ~ 426페이지
    · 저자명 : 조미영

    초록

    이청준은 1965년 등단해 2009년 타계하기 까지 43년 동안 방대한 작품 활동으로 한국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소설가이다. 특히 이청준 문학에 주목을 요하는 이유는 그의 작품이 활자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영상으로 재탄생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된 논문들은 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매체의 차이에서 오는 서사기법 비교 연구에 한정지어 졌으나, 후반부로 오면서 매체의 차이에서 오는 해석의 차이를 논하는 분석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청준의 작품이 영화로 제작된 것은 총 9편인데,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은 작품으로는 남도사람 연작을 원작으로 한 임권택의 <서편재>(1993), 「벌레이야기」(1985)를 모티프로 삼은 이창동의 <밀양>(2007)이다. 이 두 작품은 이청준 소설의 영화화에 관련된 연구 업적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청준 작품은 공통적으로 외형적인 현실 묘사 이면의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데, 특히 ‘불안’은 그의 문학을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이다. 이에 본고는 이청준 소설을 마지막으로 영화화한 윤종찬의 <나는 행복합니다>(2009)와 원작 「조만득 씨」(1971)를 분석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두 작품의 공통점은 현대사회의 병증의 기인으로 불안과 화폐를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는 두 작품에서 주인공의 내적 갈등을 야기 시키는 불안과 화폐의 관계,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환상이 각 작품에서 어떤 결말을 유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돈과 권력의 지배 아래, 돈도 없고 권력도 없는 가난한 소시민 계층이 자신이 처한 현실을 탈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한 환상이 두 작품에서는 각기 다른 결말을 유도한다.

    영어초록

    Lee Chung Joon is a writer who marked a new era in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though works produced on a grand scale over 43 years from 1965 to 2009 when he passed away. In particular, Chung Joon Lee’s literature is still in the spotlight to this day because that the works are not only limited to print but is haver been re-created as movies. Treatises, related to the filming, of Chung Joon Lee’s fictions have been continuously written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early stage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comparisons of narrative techniques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mediums, but the scope was later expanded to analgesis dealing with discrepancies in the interpretation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se mediums.
    Chung Joon Lee’s works commonly focus on the inner world of an external reality in particular, “anxiety” is a main key word that appears in his literature. A total of nine films have been produced from Chang Joon Lee’s works.
    “I am Happy” is a work by director Yoon Jong Chan, and is a film version of the novel “Mr. Jo Man Deuk”. This thesis categorizes the narrative factors of the two works into photos, characters, and background and analyzes them. Through this, it is learnt that despite being narrative works with the same story line, the two pieces differ from one another through changes made to the story.
    This paper aims analyze “I am Happy”(2009) by Jong Chan Yoon which is a film version of a work of fiction by Chung Joon Lee, and the original “Mr. Jo Man Deuk” and to study the idea of money as a source of anxiety, which is the point of the stor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illusion required to overcome this anx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