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선의 권력과 식민지의 비가시성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악마」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 (The Power of Gaze and the Invisibility of Colony: Focusing on Meanings of Diseases that appear in "A Day of Novelist Gubo" and "The Dem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6
39P 미리보기
시선의 권력과 식민지의 비가시성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악마」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16호 / 213 ~ 251페이지
    · 저자명 : 유승환

    초록

    이 글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악마」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를 식민지 지식-권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을 ‘관찰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읽어내기 위한 시도이다. 이 시기 박태원 소설 연구에 큰 영향을 행사한 ‘고현학’과 ‘산책자’라는 개념은 박태원 소설에 있어 관찰자의 존재를 전제하지만, 실제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구보에 의한 관찰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구보가 신경쇠약 환자로서 관찰자로서 필요한 감각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때 식민지 조선에서 신경쇠약이라는 용어가 식민지의 비참함과 불온함을 은폐하기 위한 용어로 활용되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결정하는 것은 식민지 감시 체계에 의해 뒷받침되는 식민지 지식-권력이다. 구보는 이러한 식민지 지식-권력의 통제 아래에서 보고 말할 수밖에 없으며, 결국 구보는 식민지 지식-권력의 용어를 전유하여, 자신이 신경쇠약 환자로 무능한 관찰자에 머무를 수밖에 없음을 고백한다. 「악마」는 임질에 대한 불안이 시력 상실에 대한 공포로 이어지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때 임질균이 근대 의학으로 대표되는 식민지 지식-권력에게 있어선 보이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는 점은 흥미롭다. 이 점은 가시성을 생산하는 식민지 지식-권력의 시선을 식민지인이 결코 획득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 두 작품에서 식민지는 식민지인에게 이중적인 의미에서 비가시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이 점에서 「천변풍경」 이후 이루어진 ‘관찰 가능성’의 회복은 식민지 지식-권력에 종속되지 않는 자율적인 ‘앎’에 대한 박태원의 발견과 관련지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the diseases in “A Day of Novelist Gubo” and “The Demon” by Park, Tae-w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al knowledge and power, and reads Park, Tae-won’s novel in the 1930s as novels that showed ‘impossibility of observation’. The concept of ‘Gohyeonhak’ and ‘Walker’, which influenced the study of Park, Tae-won novel at this time,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observers in the novel of Park, Tae-w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Gubo act properly as observer in “A Day of Novelist Gubo”. Gubo don’t have sensibilities necessary to for an observer, because he is a neurastheniac.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term ‘neurasthenia’ was used as a term to conceal the misery and seditiousness of colonial Korea. Determining what was visible and invisible in colonial Korea was colonial knowledge-power backed by a colonial surveillance system. Gubo was bound to see and speak under the control of these colonial knowledge-power, and ultimately gubo confesses that he was forced to stay in an incompetent observer as a neurastheniac by appropriating the term of colonial knowledge-power. “The Demon” describes a situation that anxiety about gonorrhea leads to fear of sight loss. It is interesting that gonorrhea exists because it is visible for colonial knowledge-power represented modern medicine, but it is understood to be present but not visible to colonial natives. This shows that the colony can never acquire the colonial knowledge-power perspective that produces visibility. In these two works, the coloniy is invisible to colonial natives in a dual sense. In this respect, the restoration of ‘possibility of observation’ after “Scenes from Cheonggye Stream” needs t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ark’s discovery of autonomous ‘knowing’ that is not dependent on colonial knowledge-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