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조창에서 시조시 제3행 제4음보 생략의 음악적 동인- 가곡창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musical motivation of omitting to sing the 4th foot of the 3rd line in Sijochang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Gagokchang)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12
60P 미리보기
시조창에서 시조시 제3행 제4음보 생략의 음악적 동인- 가곡창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8호 / 157 ~ 216페이지
    · 저자명 : 류속영

    초록

    가곡창의 악곡인 대엽조는 궁(宮)에서부터 하오(下五)까지 순차적으로 음계를 낮추면서 음악을 종결하는, 하행종지형의 종결 방식을 줄곧 고수해 왔다. 가곡창에서 제5장 제3보행은 그러한 종결 방식이 최종적으로 구현되는 곳이어서 음악적으로 종지구로서의 역할을 맡아 했다. 중대엽과 삭대엽이 선율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파생곡을 양산하면서 발전해 가는 과정 속에서도 종지구는 하행종지형의 선율 구조를 여전히 유지해 왔다. 이처럼 종지구의 선율이 규격화되고 일정한 형태로 고착되어 있기에 변화에 대한 요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오히려 더 커져갔다고 할 수 있다.
    종지구에 배분되는 노랫말은 시조시 제3행 제4음보이다. 종지구의 고정된 선율은 바꿀 수 없는 상황에서 여기에 배분되는 노랫말의 가창 방식을 바꾸어보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제5장 제2보행에 배분되는 시조시 제3행 제3음보의 마지막 음절에서 흘러나온 장식음을 다시 증폭시켜서 종지구에 길게 흘려 보내는 가창 기법이 18세기 중대엽에서 시도되었다. 『현학금보』에서 종지구를 유음이라고 지칭한 것은 이러한 가창 기법과 관련을 맺고 있다. 시조시 제3행 제4음보의 노랫말이 이 유음의 흐름에 편성함으로써 보행 내에서 각 음절들이 배분되는 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결과로 『현학금보』와 『가조별람』의 수파형 가보에서 종지구의 노랫말 배치가 곡조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지구를 구성하는 선율의 고정성과 여기에 배분되는 시조시 제3행 제4음보의 노랫말의 상투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노랫말의 배치를 달리하는 정도로는 가곡창 담당층들의 의식 속에 누적되어온 종지구에 대한 피로감과 식상함이 해소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렇게 판단한 담당층에서 시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선택지는 종지구에 노랫말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가창에서 시조시 제3행 제4음보의 노랫말을 제거해 버리는 방식이다. 『금학절요』에서 이 종지구를 반여음으로 처리했다는 것은 그러한 방식이 가곡창에서 실제로 채택되고 실현되었음을 말해 준다. 시조창 담당층들은 18세기 가곡창의 종지구에서 일어난 변화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종지구 자체를 시조창의 음악 형식에서 아예 제거해 버렸다. 이에 따라 시조시 제3행 제4음보는 시조창의 형식 속에 들어설 자리마저 없어지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traditional methods in which Sijo has been enjoyed as a lyrics of music. One is Gagokchang and the other is Sijochang. First appeared Gagokchang which was sung to the music instruments accompaniment in Daeyup`s Tune. Afterward a new kind genre of Sijochang came out in the 18th. Since then there have been two versions of music which used Sijo as songs words.
    Both of them have a commonalty that Sijo is used as the song words, however, Sijochang is different form Gagokchang in that Sijochang ends with omitting the fourth metre of the third lin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y and how Sijochang has such characteristic.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on it is as below.
    Gagokchang is made of five verses and each verse consists of two lines. But only the last fifth verse of it is composed of three lines. The third line of the fifth verse is a component part of the fifth verse, where the fourth metre of the 3rd line of Sijo is allocated. This line has the musical independence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the first two lines of Gagokchang in that it has the function of closing the whole Gagokchang.
    Gagokchang has been changed as time passed. Accordingly a variety of tunes were derived from it. But the tune composition of the third metre kept the original form without any change and was still in charge of the function which puts an end to the song. Anyway that spot did not allow the any changes and the original form became fixed with the song words set on it. As the result, its inherent value and vital power gradually lessened.
    After 18C, A new kind of music genre called "Sijochang" that set Sijo to music came out. Though Sijochang was derived from Gagokchang, it adopted the differentiated form from that of Gagokchang in order to add the new value and life power to music. one of such trials is to delete the melody and words of the 3rd lines, the 5th ve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