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북지방 오구굿의 무구(巫具)에 관한 연구 - 2012년 울진 후포 정씨의 수망오구굿 사례를 중심으로 - (Shamanic Tools of Oguguk in Kyongbuk Provinc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경북지방 오구굿의 무구(巫具)에 관한 연구 - 2012년 울진 후포 정씨의 수망오구굿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8호 / 419 ~ 449페이지
    · 저자명 : 문혜진

    초록

    본고는 2012년 울진 수망오구굿을 사례로 경북지방의 오구굿의 무구의 상징성을 속의 공간에서 성의 공간으로의 이행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즉, 그 연구대상을 본격적인 제의로 들어가기 전의 준비과정인 <청혼(넋건지기)>⋅<안비나리>⋅<망자자리말기>⋅<부정굿>⋅<골매기굿> 중에서 <청혼>⋅<망자자리말기>의 무구로 한정하였다.
    무속의 무구는 장엄구와 의례구로 나뉘는데, 장엄구는 무속 의례의 공간을 가시적으로 속(俗)과 분리시키고, 보호구로서 굿당을 잡귀잡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성과 속의 공간을 잇는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는 세습무들이 의례구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엄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본 굿의 장엄구로는 굿상⋅(굿당 밖의) 사자상인 제단과 초롱등⋅오방번ㆍ인로왕번ㆍ삼신번ㆍ시왕번, 반야용선⋅탑등의 장식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제의의 측면에서 속에서 성의로의 이행은 <청혼>으로 망자의 혼을 바다에서 건져내고, <안비나리>로 망자의 혼을 청한다고 조상⋅가신에게 알리고, <망자자리말기>로 망자의 육신을 표현하여 굿당에 모심으로써 망자를 굿당에 좌정시켰다. 이후 <부정굿>으로 굿당에 모셔질 신들을 위해 굿당을 정화하였으며, <골매기굿>으로 마을의 출입을 관장하는 골매기신에게 청해 이승과 저승의 문을 열었다. 이로써 본격적인 망자천도굿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무속은 흔히 미신으로 치부되어 굿을 그릇된 의례행위로 보는 시선이 강하다. 무속은 한국의 전통종교로서 그 신은 조상신이거나 한국의 땅에서 신성성을 현현한 신들이다. 따라서 무속의 의례공간은 성스러운 공간이다. 그러므로 본고의 무구의 신성성에 관한 연구가 무속의 종교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is Oguguk(Gut to send the dead to the heaven) of Kyongbuk Province as the case study of Uljin-gun Sumang Ogugut in 2012, and its purpose is to examine how Shamanic tools make to transform the profane space into sacred space.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research subject is restricted as shamanic tools of ritual stages like <Cheonghon> and <Mangzazarimalgi> among those of ritual stages such as <Cheonghon>, <Anbinari>, <Mangzazarimalgi>, <Bujeongguk> and <Golmaegiguk>.
    Shamanic tools is divided into the ornament and ritual tool. The shamanic ornaments separate the sacred space from the profane space, protect shamanic ritual space from mischievous spirits as a kind of charm and connect the sacred space with the profane space. This paper treated only shamanic ornament because hereditary shaman do not generally use ritual tools. In this Sumang Ogugut, shamanic alter such as table for Guk and table for the death angel and shamanic ornaments such as a green paper-covered lantern, charms of the direction of the horse, a charm of Inro Bodhisattva, charms of three Bodhisattvas, charms of ten kings in the heaven, a Buddhistic dragon ship, a Buddhistic pagoda lantern were used.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ritual, the profane was transformed into the sacred through following rituals: <Cheonghon> saves the spirit of the dead from a sea, <Anbinari> informs the ritual of the dead to ancestor and house gods, and <Mangzazarimalgi> incarnates the dead as a mat. In addition, <Bujeongguk> purifies shamanic ritual space and then <Golmaegiguk> opens the door of the otherworld as asking Golmaegi god who controls a gate of the otherworld. Through these shamanic rituals, the sacred space for Oguguk is ready.
    Korean Shamanism is usually considered as superstition; as a result, Guk is considered as a false ritual. However, Korean shamanism is a traditional religion, and its gods are ancestors or hierophany occurred in Korean earth. So, Korean shamanic ritual space is sacred. Finally,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sacred of shsmanic tools and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