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西海 島嶼住民의 거주 양태 -翎島 거주 金海 金氏 일가의 古文書 자료 분석 사례- (Lives of Insular Residents in the Western Island Area in the 18th~19th Century -A Case Study of Kimhae Kim Family Papers, Baekryeong Islan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05
37P 미리보기
18~19세기 西海 島嶼住民의 거주 양태 -翎島 거주 金海 金氏 일가의 古文書 자료 분석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1호 / 459 ~ 495페이지
    · 저자명 : 임학성

    초록

    이 연구는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에서 백령도로 이주한 김해 김씨 일가의 약 130여 년 간의 생활 모습을 고문서 및 호적 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백령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섬 생활을 관련된 58건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 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51건이며,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 및 매매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건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는 先祖가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 고을인 長淵에서 백령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백령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백령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백령도에 수군진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이었다.
    둘째, 백령도 入島祖의 신분은 평민층이었으나 이후 그 후손들 중 일부는 19세기 중엽 이후 양반 및 중인층으로 신분을 상승시켰던 반면, 일부는 19세기 말까지도 평민층의 신분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김해 김씨 일가는 전반적으로 도서 지역 내에서는 최고 지배층 가운데 하나로 신분을 상승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일부 남아 있는 매매 관련 고문서 자료를 통해 김해 김씨 일가가 경제력 신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김해 김씨 일가는 수군진의 요직을 수행하면서 세금 징수 및 특산물 供出에 적잖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러한 권력과 정보, 노력이 누적되어 김해 김씨 김두기 일가는 현재 백령도의 최대 가문으로 자리 잡았던 것이 아닌가 보여 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ancient documents and census registers related to Kimhae(金海) Kim(金) Family, who moved from interior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Members of the family left fifty-eight sheets of material about their life in Baekryeong Island. Fifty-one of them are census registers, and the rest are certificates of appointment and agreements for deed, etc. In case of ancient documents of Joseon Dynasty era, almost of them have been preserved by descendants of yangban, who have lived inland area. It is very rare that insular people from non-yangban class have kept nearly sixty sheets of paper and introduce them to the academic world. Thanks to them, we were able to understand how insular people have liv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er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Kimhae Kim Family's people moved from Jangyeon(長淵), inland town of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The family had flourished ever since, and now, it is the biggest family in the island.
    Secondly, its people were originally commoners when they first moved to the island, and in the 19th century, their descendants were middle-class men after they fulfilled their military duty under the Naval Post. The migration was a government policy to reinforce maritime defense. The Government set up the Naval Post and moved people there, when pirates began to appear frequently.
    Finally, it is common that children's names were not written on the census regis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owever, people of Kimhae Kim family wrote all the names of their children, even their young daughter. There are no children's names on the census register written in other islands with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they had a very different idea about their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