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경전(王景傳)을 통해 본 낙랑 왕씨의 문화적 정체성과 학술 전통 (The Cultural Identity and Intellectual Heritage of the Nangnang Wang Clan-A Study through the Biography of Wang Kyŏ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5.04
29P 미리보기
왕경전(王景傳)을 통해 본 낙랑 왕씨의 문화적 정체성과 학술 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조선단군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조선단군학 / 56권 / 56호 / 43 ~ 71페이지
    · 저자명 : 고현정

    초록

    본 연구는 후한서(後漢書) 순리열전(循吏列傳)에 실린 왕경전을 중심으로 낙랑 왕씨의 문화적 정체성과 학술사상을 탐구한다. 특히, 낙랑 왕씨의 학술적 전통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었는지를 분석하며, 그간 이들을 규정해왔던 ‘토착한인(⼟着漢⼈)’이란 용어에 문제를 제기한다. 그리하여 낙랑 왕씨는 위만조선의 성립, 낙랑군의 설치, 왕조(王調)의 난 등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서 재지호족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며, 산동지역의 경학(經學)의 학풍을 기반으로 한 천문(天文)과 술수(術數)라는 가학(家學)을 전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이들은 그 입향시조 왕중 때부터 한(漢) 조정과 거의 무관하였던 것으로 보이므로 이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종족적 ‘한인(漢⼈)’이 아닌 문화적 ‘유(儒)’로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재지호족(在地豪族)’으로서의 낙랑 왕씨의 역할과 위상, 그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identity and scholarly traditions of the Nangnang Wang clan (樂浪王氏) through an analysis of the biography of Wang Kyŏng (王景) in the Biographies of Upright Officials (循吏列傳) from the Book of the Later Han (後漢書). Focusing on how the clan’s intellectual traditions were formed and sustained, the study reveals that the Nangnang Wang clan maintained their status as local gentry (chaeji hojok, 在地豪族) amid political upheavals—including the rise of Wiman Chosŏn, the establishment of Nangnang-gun (Lelang Commandery), and the rebellion of Wang Cho (王調)—while preserving their family’s scholarly legacy in astronomy (ch’ŏnmun, 天文) and divination (sulsu, 術數), rooted in the classical learning (kyŏnghak, 經學) traditions of Shandong, China. Notably, their cultural identity appeared closer to "Confucian scholars" (yu, 儒) rather than "Han Chinese" (hanin, 漢人), as the clan’s progenitor, Wang Chung (王仲), had minimal ties to the Han court. By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label of "indigenized Han Chinese" (t’och’ak hanin, 土着漢人), this study redefines the Nangnang Wang clan as a localized powerful family (chaeji hojok) and offers new insights into their socio-political role in early Kore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